
이미선 신임 기상청장은 18일 "기상청이 과학 기반 기후위기 대응 허브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이날 취임사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국가적 기후적응은 필연"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청장은 "단순히 날씨를 예보하는 기관을 넘어 농업·산업·에너지·보건 등 각 분야 기후 리스크를 사전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게 과학 데이터를 제공하는 파트너가 돼야 한다"면서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고해상도 국가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바람과 일사량 예보를 고도화해 재생에너지 생산을 돕겠다"고 약속했다.
또 지역 특성과 재해 영향에 따른 기상 특보구역 세분화, 열대야 주의보 신설, 폭염경보 단계 확대, 호우특보 해제 예고 도입, 시간당 강우량 100㎜ 이상 호우에 대응한 호우 긴급재난문자 강화 등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청장은 "기상청이 생산하는 예보와 정보가 국민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소통법을 더 고민하겠다"면서 "과학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부 정책을 뒷받침하고 국제사회와도 긴밀히 협력하는 기후위기 대응 모범기관이 되겠다"고 했다.
이 청장은 이날 취임사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국가적 기후적응은 필연"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청장은 "단순히 날씨를 예보하는 기관을 넘어 농업·산업·에너지·보건 등 각 분야 기후 리스크를 사전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게 과학 데이터를 제공하는 파트너가 돼야 한다"면서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고해상도 국가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바람과 일사량 예보를 고도화해 재생에너지 생산을 돕겠다"고 약속했다.
또 지역 특성과 재해 영향에 따른 기상 특보구역 세분화, 열대야 주의보 신설, 폭염경보 단계 확대, 호우특보 해제 예고 도입, 시간당 강우량 100㎜ 이상 호우에 대응한 호우 긴급재난문자 강화 등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