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ESWC] '노벨상' 로빈슨 "韓경제 포용성으로 성공…'농민→회장' 정주영 신화가 근거"

  • 세계경자학자대회 이튿날…62개국 석학 총출동

  • 지난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로빈슨과의 대담

노벨경제학상 로빈슨
지난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로빈슨 미국 시카고대 해리스 공공정책대학원 석좌교수(왼쪽)가  1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학자대회에서 네이선 넌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경제학과 교수와 대담하고 있다. 사진=서민지 기자]
지난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로빈슨 미국 시카고대 해리스 공공정책대학원 석좌교수가 19일 한국 경제 발전은 포용적 경제 제도를 택했기 때문이며, 그 근거로 고(故) 정주영 전 현대그룹 회장의 성공 신화를 언급했다.

로빈슨 교수는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학자대회에서 경제사 분야 대가인 네이선 넌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경제학과 교수와 경제 발전의 역사와 관련해 대담했다. 

지난해 대런 아세모글루 미 매사추세츠공대(MIT) 경제학과 교수, 사이먼 존슨 MIT 슬론경영대학원 교수와 노벨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로빈슨 교수는 역사적 사례를 통해 경제와 정치 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국가 발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해왔다.

특히 아세모글루 교수와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를 공동 저술했으며 이 책에서 포용적 제도를 국가 번영을 이끄는 핵심으로 꼽았다. 포용적 제도란 더 많은 사람을 경제활동에 참여시키는 체제를 말한다. 특정 권력 집단이 이익을 독점하는 착취적 제도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로빈슨 교수는 "북한은 착취적 제도를 취했지만 남한의 경우 일본 식민지 시기에 미군정이 들어온 후의 토지개혁, 즉 일본인 지주의 토지를 몰수·분배한 것이 포용적 사회로 가는 중요한 기반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대기업 창업주의 전기를 읽었는데 그는 집안이 매우 가난한 쌀 농사꾼이었지만 교육을 받고 서울로 올라와 엄청난 사회적 이동을 이뤄냈다"며 "한국이 근본적으로 포용적이라는 의미"라고 밝혔다. 

로빈슨 교수는 박정희 전 대통령 집권 시기 한국은 정치적으로 착취적이었지만 경제적으로는 포용적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경제적으로 포용적 제도를 갖춘 후 집요하게 경제발전에 매진하는 지도자를 얻으면서 성장이 가속화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경제적 포용만으로는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포용적 정치제도도 필요하다"며 "제도에 대한 사회 전체의 문화적 헌신과 합의가 없다면 제도가 유지되기 어렵다"고 밝혔다. 

로빈슨 교수는 향후 아프리카 나이지리아가 경제 성장을 이룰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했다. 그는 "아프리카와 동아시아 문화 사이엔 가족과 조상을 중시하는 점, 공동체적 성격 등 유사점이 꽤 있다"며 "2100년이 되면 전 세계 인구의 40%가 아프리카에 살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인류의 미래는 아프리카와 함께 갈 수밖에 없다"면서 "중국이 1978년에 개혁을 시작했을 때처럼 엄청난 에너지와 기업가 정신이 가득한 나이지리아도 추진력을 얻고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