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지난 23일부터 이어진 정상외교 일정을 마치고 28일 새벽 귀국했다. 대외 현안을 순조롭게 마무리한 이 대통령은 귀국 직후 대내 현안 대응과 민생 행보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특히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정운영 지지율이 하락세를 이어가자 분위기 전환을 위해 ‘민생 현장 소통’에 다시 공을 들일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이 출렁인 요인으로 △국민의힘 전당대회 △장관 후보자 낙마 △이춘석 의원 논란 등이 거론됐다.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윤미향 전 의원에 대한 광복절 특별사면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실제로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지난 21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 대통령이 지지율 추락을 감안하고 조 전 장관 사면을 결정했다고 설명하면서 “정치인 사면으로 가장 피해를 본 사람은 이 대통령”이라며 “(특별사면) 주무였던 수석으로서 괴로웠다. 대통령 지지율을 떨어뜨린 주범이기도 해서 괴롭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지지율 하락은) 국민 일부가 지지를 철회했다는 것이고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9월 초 정상회담 이후 복귀부터 여러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했고 그 프로그램 중 타운홀 미팅 재개도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그간 민생 현장에서의 소통을 통해 전임 정부와 차별성을 강조하고 지지율을 끌어올렸다. 이번 타운홀 미팅 재개도 이런 강점을 다시 살리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이 대통령은 광주·대전·부산에서 세 차례 타운홀 미팅을 열고 시민과 직접 소통을 통해 지지율을 견인했다. 최근에는 정상외교 일정으로 인해 지난 7월 부산 행사 후 한 달가량 현장 소통 행보가 중단된 상태다.
이 대통령은 순방 기간 국회에서 처리된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2차 상법 개정안 등 입법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해당 법안들은 이 대통령이 해외 순방 중인 24일 국회의 문턱을 넘었다. 법안 효력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국무회의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