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새롭게 변화될 기후·에너지 산업을 미리 만나볼 수 있는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가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사흘간의 일정으로 막을 열었다.
'에너지 슈퍼위크(25∼29일)' 핵심 행사로 꼽히는 이번 박람회는 한국 정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이 공동 주최한다. 이번 행사는 'AI를 위한 에너지, 에너지를 위한 AI'(Energy for AI, AI for Energy)를 주제로 전시회, 12개 컨퍼런스, 60여개 부대행사가 진행된다. 개막식에는 32개국 정부 대표와 15개국 대사 등 24개국 주한 대사관, IEA 사무총장, 세계은행 부총재 등 국제기구 주요 인사들이 함께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엔비디아, 아마존웹서비스 등 세계 주요 디지털 기업을 비롯해, RWE, 슈나이더 일렉트릭, 지멘스, 블룸에너지 등 글로벌 청정에너지 선도 기업이 대거 참여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현대차, SK이노베이션, 한화큐셀, 두산에너빌리티 등 주요 기업이 함께하는 등 개막식에 1000명 이상이 함께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개회사에서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전력망 확충, 재생에너지 전환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에너지 안보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이루겠다"며 "AI와 에너지가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전 세계와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올해 전력기자재 3사(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HD현대일렉트릭)가 모두 참여하는 에너지고속도로관이 신설돼 서해안 초고압 직류송전(HVDC) 등 핵심 사업 추진 계획과 육·해상 그리드 솔루션, 스마트그리드, 마이크로그리드, 초고압 변압기, ESS 등 차세대 전력망을 공개한다.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 수소,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에너지기술도 대거 선보인다. 국내 최초의 10㎿(메가와트) 모델 등 풍력 기자재를 비롯해 SMR 파운드리 기술(두산), 재생에너지·그린수소 밸류체인(고려아연), 수상형·영농형 태양광 등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혁신 기술 및 제품(한화큐셀) 등이 전시된다.
삼성전자, LG전자, SK이노베이션, 현대차 등은 AI 데이터센터 액침 냉각, AI 칩, 글라스 기판, 전기차 충전 로봇 등 에너지 혁신 모델을 선보인다.
행사 기간 동안 기후·에너지·AI를 주제로 한 12개 국제 콘퍼런스가 열린다. 올해 국제기구 주관 컨퍼런스도 4개로 확대되어 국제 논의의 장으로서 기능이 강화됐으며 약 100명의 국내외 연사와 패널이 참여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27일에는 한·IEA 공동포럼, 한·WB 글로벌 포럼, 에너지공단·ADB 청정에너지 대화, 주한 유럽연합 대표부 주최 고위급 세미나 등이 진행되고 이튿날(28일)에는 기후·에너지 분야 48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는 채용설명회, 판매 상담회, 수출 상담회도 함께 열린다.
이번 박람회는 전자 브로슈어와 QR코드를 적극 활용해 불필요한 인쇄물을 줄여 탄소 배출을 최소화했다. 또한, 산림 탄소 흡수량 상쇄권을 구매해 박람회 운영 중에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상쇄해 탄소중립에 기여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