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당국자 "TSMC, 트럼프 반도체 관세에 크게 영향받지 않을것"

  • 닛케이아시아 인터뷰..."현지투자로 공장 증설해"

TSMC 로고사진로이터연합뉴스
TSMC 로고[사진=로이터연합뉴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대만 TSMC는 미국 내 투자에 힘입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반도체 관세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대만 정부 고위 당국자가 밝혔다.

26일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TSMC 최대주주인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의 류징칭 주임위원(장관 격)은 전날 일본 도쿄에서 진행된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TSMC는 현재 미국에서 직접 투자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에 수출되는 반도체 부품 비중은 1%에 불과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TSMC는 미국 애리조나주에 미국 내 제1 반도체 공장을 가동 중이며, 제2공장과 제3공장은 각각 2028년과 2030년 가동을 목표로 건설하고 있다. 앞서 지난 3월에는 미국 내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1000억달러(약 139조원)를 추가 투자해 공장 등을 증설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는 기존 투자 계획 650억달러(약 90조원)와 별도로, 미국 내 첨단 웨이퍼 제조 공장 6곳과 첨단 패키징 공장 2곳을 두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4월엔 애리조나주에 미국 내 제4공장 착공에 들어갔다. 

류 위원은 '트럼프 관세'가 대만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서는 "수출 제품의 75%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며 나머지 25%는 이미 관세가 부과된 철강과 알루미늄과 같은 상품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대만 기업이 진출한 텍사스와 애리조나 등을 포함한 주 정부와 자국 기업의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향후 대만 기업이 미국 현지에 공장을 건설할 경우 미국 현지 정부의 세제 혜택을 받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류 위원은 전날 '대만·일본 이노베이션 서밋' 참석차 일본을 방문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5일 곧 반도체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며, 그 관세율이 최대 300%에 달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