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이 향후 국방 인공지능(AI) 기술을 고도화해 전장에서 지휘관의 결심을 보좌하거나, 국방 정책결정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전투참모·정책참모 체계를 구축한다. 국방 AI 정책 추진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 영입도 추진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29일 오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이두희 차관 주관으로 국방인공지능 회의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전했다.
국방부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국방 인공지능 정책을 논의단계에서 실행단계로 전환하고, AI 기술의 국방분야 적용을 위해 실질적인 정책 추진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또한 군장성급 인사가 맡아온 첨단전력기획관 직책을 민간 전문가 영입이 가능한 '개방형 공모직'으로 전환해 국방 AI 정책 추진을 맡기기로 했다. 첨단전력기획관은 내달부터 공모를 진행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이를 바탕으로 단기적으로는 AI 기술을 활용해 행정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중·장기적으로는 국방부 장관의 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정책참모'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방 AI를 활용해 전장에서 지휘관의 결심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전투참모'도 구축하고, 무기체계의 고도화·지능화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 차관은 "병역자원 부족 등 국방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는 절박한 심정으로 국방 인공지능을 통한 혁신에 매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국방부 자원관리실장과 전력정책국장, 합참 지휘통신부장, 육군 정책실장, 해·공군 정보화기획참모부장, 국방연구기관 등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