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러 파병군 유족 또 위로…평양에 '새별거리' 조성 계획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9일 평양 목란관에서 해외군사작전에서 특출한 공훈을 세운 참전열사들의 유가족들을 만나 따뜻이 위로하고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9일 평양 목란관에서 해외군사작전에서 특출한 공훈을 세운 참전열사들의 유가족들을 만나 따뜻이 위로하고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됐다가 숨진 장병들의 유가족을 위로하는 두 번째 대규모 보훈 행사를 열었다.

조선중앙통신은 30일 "조선인민군 해외작전부대 참전군인들에 대한 제2차 국가표창 수여식이 29일 진행됐다"고 전했다. 이는 북한 관영 매체들이 지난 22일 전사자 101명의 초상과 메달을 공개한 지 일주일 만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평양 목란관에 유족들을 초청해 전사자들의 초상을 일일이 전달하고 기념촬영을 진행했다. '해외군사작전에서 위훈을 세운 군인'에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 칭호와 금별메달, 국기훈장 제1급이 수여됐다.

김 위원장은 "참석하지 못한 유가족에 대한 생각을 많이 했다"며 "영웅들의 유가족 모두를 다시 만나 위로하고 슬픔과 상실감을 덜어드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어 "영웅들이 남긴 자녀들은 국가와 군대가 전적으로 책임지고 잘 키우겠다"고 밝혔다. 북한의 혁명학원은 이러한 유자녀를 당 간부 후보로 육성하는 특수 교육기관이다.

또 김 위원장은 평양 대성구역에 참전군인 유족들을 위한 새 거리를 조성하고, 이를 '새별거리'로 명명하겠다고 밝혔다. 새별거리 앞 수목원 명당에는 전사자들의 유해를 안치하고 '불멸의 전투위훈 기념비'를 세울 계획이다.

노동신문에는 유족들이 전사자의 사진을 안고 오열하는 모습, 어린이들이 아버지의 사진을 쓰다듬는 장면, 김 위원장이 유족들에게 허리 숙여 인사하는 장면 등이 그대로 실렸다. 이날 행사에는 군부와 당 간부, 혁명학원 원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번 2차 국가표창 수여식은 대규모 사상자로 인한 군 사기 저하와 민심 이반을 막기 위한 의도로 분석된다. 1차 수여식 당시 포착된 전사자 초상은 101개였으며, 이번에는 당시 포상하지 못한 인원에 대한 포상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4월 국회 보고에서 북한군 피해를 전사자 600명을 포함해 총 4700명으로 집계한 바 있다.

한편, 북한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파병군 희생을 강조하며 외교·경제적 보상을 기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 궁 외교정책 보좌관은 30일 브리핑에서 9월3일 중국 전승절 열병식 동안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 양자 회담을 조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