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급' 불씨 된 노사 갈등...반도체 업계 대형 악재로

  • 삼성 노조, 이재용에 성과급 개선 요구

  • HBM에 올해 성과급 '희비'...노사 갈등 극한

  • SK하이닉스, '영업익 10%' 성과급 합의 도출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반도체 업계가 미국발 관세 부담으로 생존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노사 간 '성과급' 갈등까지 불거지며 업계가 이중 악재로 시름하고 있다. 

SK하이닉스 노사가 올해 파격적인 성과급 지급을 골자로 한 임금 교섭 합의안을 마련하면서, 삼성전자 내부에서도 자사의 불투명한 성과급 제도를 문제 삼으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향해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 삼성전자 지부는 2일 이재용 회장, 전영현 반도체(DS)부문장 부회장, 노태문 완제품(DX)부문장 직무대행 겸 MX사업부장 등에 '낡은 성과급 제도와 변함없는 회사'라는 제목으로 서한을 보냈다.

삼성전자 지부는 "EVA(경제적부가가치) 방식 기준은 정작 직원 누구도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 수 없는 '깜깜이 성과급 제도'라는 말 외에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며 "영업이익이 높더라도 특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성과급은 0원이 될 수 있으며 상한선까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조는 "회사가 성과급 개선 TF를 운영해 여러 차례 회의를 진행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이후 어떤 발표나 성과가 전혀 없었다"고 했다.

노조는 사내 게시판을 통해 직원들의 사기와 회사에 대한 신뢰가 바닥으로 떨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노조는 "이런 상황에서 정말로 직원들을 생각하는 경영진이라면 성과급 개선 TF가 아닌 이직 TF가 필요할지도 모르겠다"며 "아무리 요구해도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미 수차례 경험했기 때문에 저희는 성과급 제도와 관련해 회사에 요구할 것이 없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노조는 "이미 직원들에게 신뢰를 보여주기엔 늦었지만, 늦었더라도 최소한 변하려는 모습이라도 보여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전삼노가 새로운 노조 집행부를 선출하면서 삼성 노사의 임단협이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삼노에 따르면 한기박 전삼노 기흥지부장(기호 1번)이 제4기 전삼노 위원장에 선출돼 이날 오후 정식으로 전삼노 노조위원장으로 취임할 예정이다. 우하경 조합원은 수석부위원장으로, 이윤경 조합원은 사무국장으로 각각 선출됐다. 한 위원장은 특히 임금과 성과급 등 조합원들의 관심사에 적극 대처할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 노사가 올해 파격 성과급 지급을 골자로 하는 임금 교섭 합의안을 마련하면서 경쟁사인 삼성전자 내부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는 분위기다. 

앞서 SK하이닉스 노사는 전날 임금 인상률 6.0% 상승을 주 내용으로 하는 '2025년 임금교섭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특히 성과급 상한선이었던 기존 '기본급의 1000%'를 폐지하고, 매년 영업이익의 10%를 연차별로 나눠 지급하기로 했다.

올해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최대 39조원가량으로 전망치대로라면 4조원 가까운 재원이 성과급에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