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이날 전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찬성이 94.9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금융노조는 16일 총력 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26일부터 총파업에 나선다. 금융노조 측 교섭 요구안은 △임금 5% 인상 △주 4.5일제 도입 △정년 연장 등이다. 노조 측은 새 정부가 중소기업의 주 4.5제 시행을 위한 예산을 편성한 데 힘입어 전국을 돌아다니며 주 4.5일제 도입 독려를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를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라는 부정적 여론도 상당하다. 제도가 도입되면 기존 주 40시간 근무는 36시간으로 줄어든다. 5일 중 하루 근무 시간은 8시간에서 4시간으로 단축되는 것이다. 지점 운영시간이 그만큼 줄어들면서 고령층·소상공인 등 비대면 채널 활용이 어려운 고객들의 불편이 커질 수 있다. 심사부서 등에서 업무가 지연되며 당장 서비스가 필요한 고객들의 피해도 예상된다.
노조 측은 장시간 노동이 저출산 문제의 근본 원인이라며 주 4.5일제가 출산율 회복과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고 있어 업무 시간이 단축돼도 생산성 저하 우려가 작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금융 공공성을 훼손하지 않으려면 지점 운영시간이 줄어도 이를 뒷받침할 시스템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지용 상명대 교수는 "근무시간 단축은 금융소외를 야기할 수 있다"며 "고령층을 위한 비대면, 정보통신기술(ICT) 교육을 강화하며 생산적 금융 기반을 확대하는 동시에 24시간 거래할 수 있는 앱 시스템을 선제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