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베이징 전승절 열병식 참석…외신 "고립 탈피, 글로벌 플레이어 변모"

  • 블룸버그 "북, 미·중 경쟁·우크라 전쟁 속 입지 지렛대로 활용"

  • 로이터 "김정은, 중·러와 서며 핵 지지·외교 확장 기회 얻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이 열병식에 앞서 함께한 모습 사진타스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오른쪽)이 열병식에 앞서 함께한 모습. [사진=타스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한 가운데 외신들은 이를 두고 김 위원장이 ‘고립된 왕따’ 이미지를 벗고 국제 무대에서 존재감을 확대하려 한다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열병식 주석단 중앙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모습을 드러냈으며 행사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두 정상과 앞서 걸으며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포착됐다. 이는 북한 지도자로서는 수십 년 만에 이례적인 다자 외교 무대 등장으로 꼽힌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0여년 간 김 위원장은 국제적 고립의 전형이었고, 국제 무대에서 배제되고 혹독한 제재를 받는 독재자였다”며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인권 탄압은 이러한 인식을 더욱 공고히 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번 열병식에서 다자 외교무대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김 위원장은 “다른 이야기를 들려준다”며 “베이징 열병식의 화려함 속에서 김 위원장의 모습은 고립된 외톨이에서 동맹들과의 관계 강화로 이익을 얻는 ‘글로벌 플레이어’로 변모하는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운 것”이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또 김 위원장이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함께 선 장면에 대해 “격화하는 미·중 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으로 인해 변화하는 지정학적 질서에서 북한의 입지를 어떻게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는지 보여준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는 푸틴과 군사 협력, 확장하는 (북한) 핵무기와 미사일 보유를 토대로 한 전략적 전환(pivot)”이라며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 재개를 추진할 경우, 이는 김 위원장을 더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통일연구원 홍민 연구위원은 블룸버그에 김 위원장이 시 주석·푸틴 대통령 옆에서 중국의 첨단 무기를 직접 지켜본 것은 북한이 ‘핵보유국’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묵시적 지지를 얻으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영국 BBC도 “북한 지도자가 중국 열병식에 참석한 것은 수십 년 만에 처음”이라며 이번 행보에 주목했다. BBC는 "김 위원장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한 러시아에 무기와 병력을 공급했다"며 시 주석은 김 위원장, 푸틴 대통령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우크라이나 전쟁의 두 공격자와 연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미국 CNN 방송은 서방의 많은 사람에게 이번 열병식의 결정적인 이미지는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 김 위원장이 나란히 서서 전례 없는 반(反)서방 연대감을 과시하는 모습일 것”이라고 짚었다.
 
로이터 통신 역시 ‘은둔형 지도자’인 김 위원장의 열병식 참석을 두고 “중국과 러시아 파트너들 곁에 서서 국제사회로부터 금지된 핵무기에 대한 묵시적 지지를 얻고 외교적 네트워크를 넓힐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로이터는 존 델러리 아시아소사이어티 선임연구원의 분석을 인용해 “김정은은 도널드 트럼프와의 정상회담 때처럼 그 이미지를 국내에 되비추며, 자신이 세계적 정치 지도자라는 면모를 과시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