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지하철 내장재 화재 안전성 검증 시행

  • 객실 설비품, 전동차·역사·터널 내 화재 시 대응 매뉴얼 보완 추진

전동차 객실 화재 모의 시연 장면 사진서울교통공사
전동차 객실 화재 모의 시연 장면. [사진=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는 지축차량기지에서 서울소방재난본부와 합동으로 전동차 객실과 실내 설비품 6종에 대한 화재 시연을 시행했다고 4일 밝혔다. 

현재 신조 전동차 내 설비품(내장판, 단열재, 의자, 바닥재, 연결막, 손잡이)은 철도안전법(철도차량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화재안전 최우수등급(4등급) 조건을 만족하는 불연·난연 재질로 구성돼있다.

하지만 지난 5월 발생한 5호선 방화 사건 이후 승객 안전 확보를 위해 전동차 내장재의 방염 성능과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 확산 속도, 화재 온도, 유해가스 성분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공사는 최대한 실제 운행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전동차 안에 불을 붙여 내장재, 객실의자 등 주요 설비의 방염 성능 평가 등 화재 안전성 검증을 진행했다.

이번 시연은 △신조 전동차 실내 설비품(내장재 등 6종) 화재 안전성 검증 △전동차 객실 내 화재 상황 재현 △자연 소화 후 전동차 객실 내 상태 확인 등 세 가지 절차로 구성됐다.

우선 설비품을 거치대에 고정하고 화염원(토치)을 20초간 방사해 연소 가능 상태 확인 등 화재 안전성을 검증했다. 이어서 전동차 객실 한 칸에 인화물질(2L) 살포 후 불을 붙여 연소시간을 비교하고 연기 확산 속도, 유해가스 성분, 화재 온도 등을 확인했다.

공사는 이번 화재 시연 결과를 전동차 객실 설비 보완, 전동차·역사·터널 내 화재 대응 매뉴얼(승객 대피 포함), 소방 당국과 합동 대응체계 구축 등 안전대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이번 화재 시연은 실제로 운행 중인 전동차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혹시 모르는 위험을 검증하고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라며 “실험 결과를 토대로 매뉴얼과 설비품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어떤 상황에서도 안전한 지하철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