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AX 혁신센터·AI 대학원 협의체 출범…"산업 AI 전환 속도"

  • AI 인재·기술·기업 연결하는 '서울형 AX 실행체계' 구축

  • 오세훈 "'AI로 미래를 주도하는 도시 서울' 실현해 나갈 것"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사진서울시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산업 AI(인공지능) 전환 생태계의 본격 가동을 선언했다. '산업 AX 혁신센터'를 통해 기업에 맞춤형 AI 전환 로드맵을 제시하고, '서울 AI 혁신협의회'는 대학이 보유한 연구 성과와, AI 인재 풀을 산업 현장으로 연결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서울 AI(인공지능) 허브에서 ‘서울 산업 AX(인공지능 전환) 혁신센터’와 ‘서울 AI 혁신협의회’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대·KAIST·연세대 등 10개 AI·융합대학원장, AX 지원사업 참여기업 대표 등 약 100명이 참석했다.

두 기관은 AI 기술 도입·컨설팅·실증·확산까지 전 과정을 서울 안에서 처리할 수 있는 ‘완결형 실행 체계’를 구성하며, 산업 현장의 문제를 AI로 해결하는 실행 중심 플랫폼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번에 새롭게 구축한 산업 AX 혁신센터는 제조·물류·패션·콘텐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도입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흐름에 대응해 기업의 전환 수요를 연중 상시로 접수하고, 공정·데이터·운영 현황을 진단한 뒤 맞춤형 전환 로드맵을 제시하는 원스톱 컨설팅 허브로 운영한다.

센터는 △수요기업·공급기업 매칭 △산학 컨소시엄 구성 △PoC(기술검증) 설계 및 수행 △현장 실증 및 확산 등 AX 전환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상시 실증 플랫폼 역할을 한다.

함께 출범한 서울 AI 혁신협의회는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성균관대(RISE AI 클러스터 사업단),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KAIST, 한양대 등 10개 AI·융합대학원이 참여하는 개방형 산학협력 협의체다.

협의회는 대학이 보유한 최신 연구 성과, 고급 AI 인재, 산업별 전문가 풀(POOL)을 산업 현장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맡아, AI 컨설팅 자문, 문제 정의, 공동연구, 실증 지원 등을 수행하며 산업 AX 혁신센터의 현장 실행을 지능적으로 뒷받침하는 ‘두뇌’ 역할을 한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올해 AX 지원사업 성과도 함께 발표했다. 건설, 제조, 물류, 패션, 출판, 콘텐츠 등 총 20개 기업이 실증을 완료했으며, 다수 기업에서 실제 운영 단계에서 공정 개선·효율 향상·운영비 절감 등 체감 가능한 변화가 확인됐다.

시는 기술 도입 중심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AX 전환 모델을 확립했다는 평가와 함께, 올해 실증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산업별 전환모델과 적용 가이드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산업 AX 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상시 컨설팅 체계·전문 자문단 구성·공급기업 풀 확충 등을 강화하고, 2026년부터 프로그램을 상시화하며 지원 규모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은 AI전환 흐름을 따라가는 도시가 아닌 기준을 만들고, AI 시대 표준이 되는 도시로 나아가고 있다”며 “서울 산업 AX센터가 서울의 AI 전환 핵심 플랫폼으로 연구·실증·확산의 선순환적인 서울의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