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일 미 당국의 대대적 이민 단속에 나선 데 대해 "난 그 사건에 대해 (이민단속 당국의) 기자회견 직전에야 들었다"며 "내 생각에는 그들은 불법체류자였고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자기 할 일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민 단속 대상이 된 현대차의 대규모 미국 투자와 관련해 "그들은 우리나라에서 자동차나 물건들을 팔 권리가 있다. 아시다시피 이것은 일방적인 거래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미국 현지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는 해외 기업을 상대로 대규모 이민 단속을 벌인 것이 부당하지 않느냐는 질문이 제기되자 그는 해외 기업의 투자 결정이 미국에만 일방적으로 이익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취지로 반박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기즈모도는 이번 공사 중단이 미국 제조업 일자리가 계속 줄어드는 상황에서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짚었다. 실제로 지난 5일 미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8월 미국 실업률은 4.3%로 202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제조업 일자리는 지난달 1만2000개 줄었고, 지난 1년간 총 7만8000개가 감소했다.
또한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목표가 안고 있는 모순을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핵심 경제 정책으로 기업들의 미국 내 공장 건설을 유도하면서도 동시에 강경한 이민 단속을 펼쳐 미국이 부족한 첨단 배터리 생산 등 고급 기술 인력 확보에는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번 단속을 두고 미국 정치권에서도 격론이 펼쳐지고 있다. 의회아시아태평양계 코커스(CAPAC) 소속 민주당 의원들과 조지아주의 민주당 하원의원들은 이날 공동성명을 내고 지난 4일 이뤄진 이민 당국의 단속에 우려를 표명했다. 의원들은 "한국 혈통을 다수 포함한 이민자 수백 명이 구금됐고, 여기에는 미국 시민과 합법적인 영주권자도 포함됐다고 한다"며 "이런 무분별한 행동은 가족을 찢어 놓고, 경제에 피해를 주며, 우리 글로벌 파트너들의 신뢰를 약화한다"고 지적했다. 성명에는 한국계인 앤디 김 상원의원, 매릴린 스트리클런드 하원의원을 포함해 20명이 서명했다.
반면 공화당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단속을 지지하는 분위기다. 현대차 공장을 지역구에 둔 버디 카터 하원의원(공화·조지아)은 전날 엑스(옛 트위터)에 "난 트럼프 행정부와 우리 용감한 법 집행관들이 미국 노동자를 우선하고 우리 지역사회를 불법 이민이라는 재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한 대담한 행동에 박수를 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