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DS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한 전략과 AI 전환(AX)을 위한 ‘AI 풀스택(Full-stack)’ 서비스를 공개하며, 기업 혁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삼성SDS 리얼서밋 2025’ 행사에서 이준희 삼성SDS 대표는 “AI 어시스턴트는 사용자의 질문에 응답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에 불과하지만, AI 에이전트는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며 “AI 에이전트를 기업 업무에 적용할 경우 전사적 혁신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삼성SDS는 이날 자사의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 협업형 생성형 AI 서비스 ‘브리티 코파일럿’, 업무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 오토메이션’ 등을 포함한 AI 풀스택 전략을 소개했다.
AI 풀스택은 AI 구현과 운영에 필요한 모델, 인프라, 연계 기술 등을 포괄하는 통합 개념이다. 삼성SDS는 기업 고객이 복잡한 AI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랫폼과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빠르고 안정적으로 AI 기반 업무 혁신을 실현할 수 있다.
이날 행사에는 KB금융그룹, 원익그룹, 업스테이지 등 주요 고객사가 참여해 실제 AI 도입 사례를 발표했다.
KB금융그룹은 패브릭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금융 업무에 AI 에이전트를 적용한 결과를 공유했다. 이경종 KB금융 금융AI2센터장은 “자산관리, 기업금융, 상담업무 등에 AI 기술을 접목한 결과, 고객 만족도 향상과 함께 업무 효율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말했다.
원익그룹은 브리티웍스와 브리티 코파일럿을 활용한 경험을 소개했다. 김경호 원익그룹 전무는 “해외 고객과의 화상회의가 늘어나면서 언어 장벽 문제가 발생했지만, 브리티 코파일럿의 동시통역 기능을 통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외부에서 근무 중일 때에도 AI 에이전트를 통해 부재 중 업무가 중단되지 않도록 조치할 수 있었으며, 향후 브리티 코파일럿이 의사결정까지 지원하는 포털로 진화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도 행사에 참여해 협업 모델을 소개하며, 대기업과의 기술 연계 및 적용 가능성에 주목했다.
이번 리얼서밋 2025에는 총 8000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 및 고객이 참석했다. 행사장에는 삼성SDS의 생성형 AI 솔루션을 시연하고 기술 구성 요소를 확인할 수 있는 체험 공간도 함께 마련됐다.
이정헌 삼성SDS 전략마케팅실장(부사장)은 “AI와 클라우드 기반 기술은 향후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삼성SDS는 기업 고객이 AI 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