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해시가 오는 25~26일 진행되는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본실사를 앞두고 막바지 준비에 나섰다.
이번 심사는 김해시가 지난 5년간 추진해온 생활 속 안전정책의 성과를 국제적으로 평가받는 자리다.
국제안전도시는 1989년 스웨덴 스톡홀롬 선언을 기초로 WHO 협력센터가 제창한 개념으로, 지역사회가 사고와 손상을 줄이고 안전 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만이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
전 세계 33개국 441개 도시가 공인을 받았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김해시를 포함해 31개 도시가 지정돼 있다.
이번 본실사는 총괄보고, 손상감시체계, 교통안전, 자살예방, 노인낙상예방, 폭력·범죄예방, 우수사례 등 7개 분야를 중심으로 국제 기준 충족 여부를 종합 평가한다.
심사는 국제안전도시 공인센터(ISCCC)가 주관하며 스웨덴·일본·중국 국적의 심사위원 3명이 온라인으로 참여한다.
김해시는 지난 2020년 9월 국제안전도시로 공인된 이후 교통·범죄·자살·낙상·재난·생활 및 산업안전 등 전 분야에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용품 배부, 범죄예방 비상벨과 안심 반사경 설치, 자살예방 번개탄 보관함, 노인 낙상예방 운동교실, 침수취약지역 우수받이 표지판, 발달장애인 대상 소화용구 지원 등이 대표 사례다.
지난 6월 1차 현지실사에서 심사위원단은 “우수한 인적자원과 인프라를 활용한 성과가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하면서도 일부 통계자료 보완을 주문했다.
김해시는 보완 작업을 거쳐 이번 본실사에는 한층 완성된 대응체계를 선보인다.
김해시 안전도시실무위원회와 2021년 설립된 안전도시연구센터는 재공인 추진의 핵심 동반자로, 신규 안전증진사업 발굴과 손상감시체계 운영, 지역안전지수 분석 등 전문적 지원을 맡고 있다.
재공인 여부는 10월 중순 판가름날 전망이며, 확정될 경우 김해시는 11월 13일 재공인 선포식을 열고 국내외 안전 관련 인사들과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김해시 관계자는 “재공인은 시민 안전 체감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안전하고 행복한 김해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해시, 국가유산교육 활성화 공모 선정...경남 유일

김해시가 국가유산청이 주관하는 ‘2026년 지역 국가유산교육 활성화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경남에서는 유일한 사례다.
12일 김해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복권기금을 재원으로 운영되며,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국가유산을 친근하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김해시는 국비를 포함한 총사업비 4400만원을 투입해 2026년 3월부터 12월까지 경남도 문화유산자료인 산해정에서 남명 조식 선생과 산해정을 주제로 한 특색 있는 교육 과정을 추진한다.
인제대학교 박물관과 협력해 청소년들이 남명 선생 관련 콘텐츠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굿즈를 제작하는 ‘남명 톺아보기’ 학교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회적 약자와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산해정 탐방과 함께 경의검, 성성자 방울 등 유물을 활용한 체험형 교육도 진행한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남명 조식 선생의 정신과 산해정의 가치를 교육 현장에 정착시키고,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국가유산 교육도시 김해’라는 비전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김수연 김해시 문화유산과장은 “이번 공모 선정은 김해시가 지닌 역사·문화적 가치를 전국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라며 “앞으로도 지역 특화 국가유산을 활용한 체험학습을 상설화해 시민 모두가 주체적으로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