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째 공모 나선 국가AI컴퓨팅센터…네이버·NHN·삼성SDS 등 관심

  • 정부, 새로운 공모지침 마련…민간에 불리한 '독소조항' 제거

  • SPC 민간지분율 70% 초과, 매수청구권·국산AI반도체 의무 삭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국가 인공지능(AI) 인프라 조성을 위한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의 세 번째 공모에 나선다. 두 차례 유찰을 겪은 이후 민간에 불리한 독소 조항을 제거하고, 공공과 민간이 상생할 수 있도록 사업을 전면 재조정했다. 이에 네이버·NHN·삼성SDS 등 관련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12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클라우드·NHN클라우드·삼성SDS 등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이 이번에 개편된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기업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이 개편되면서 기업들의 참여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여러 업종 간 컨소시엄 구성 시 사업 선정에 우대 혜택이 있는 만큼, 외부 기업들과 협력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11일 이준희 삼성SDS 대표는 연례 고객 초청행사 '리얼서밋 2025'에서 "AI컴퓨팅센터 사업 참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아침에 AI컴퓨팅센터 사업 공모 지침서를 정식으로 받아 검토 중이고, 외부의 다른 업체들과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삼성SDS가 정부의 AI 글로벌 3대 강국 목표 달성에 기여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간 삼성SDS는 앞서 두차례 유찰된 사업 공모에서도 긍정적인 참여 의지를 밝혀왔다. 

국가 AI컴퓨팅센터 사업은 AI전용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정부가 추진하는 AI 인프라 구축의 핵심 과제로 평가받는다. 2028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5000장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한다. 민·관 합작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운영되며, 2조원 이상의 사업비용이 투입된다. 

민간에 불리한 사업 구조로 기업들의 관심이 저조하자, 정부는 이번 재공모를 통해 민간 주도의 모델로 개편했다. 기존에 공공 51%·민간 49%의 지분 구조를 민간 70% 초과로 변경했다. 공공지분에 부여된 매수청구권과 국산 AI 반도체 활용 의무 조항을 삭제했다. 정부의 지원체계도 유지된다. 정부가 800억원을 직접 출자하고, 주요 은행을 통한 정책금융 대출도 병행한다. 또한 AI컴퓨팅센터는 정부 지원사업과 연계해 우선 활용되고, 데이터센터 설립 허가에 필요한 전력계통영향평가도 신속히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이번 사업은 새 정부가 추진하는 AI 고속도로 구축의 핵심이자 국가 AI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사업"이라며 "앞서 두 차례 공모가 유찰된 만큼 관계부처와 논의해 조건을 보완했고, 이번에는 유의미한 성과가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현장에는 200여개 기업 및 기관 관계자가 몰렸다. 삼성SDS·LG CNS·현대오토에버·신세계아이앤씨 등 주요 IT서비스 기업을 비롯해,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네이버클라우드·KT클라우드·NHN클라우드·카카오엔터프라이즈·구글클라우드 코리아 등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가 참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