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1지구는 '내홍', 성수2지구는 '속도'…엇갈린 재개발 행보

  • 1지구, 입찰지침 논란에 재입찰 결정

성수1지구 재개발 지역 모습 멀리 보이는 서울숲 트리마제 사진이용우 기자
성수1지구 재개발 지역 모습. 멀리 보이는 서울숲 트리마제. [사진=이용우 기자]

서울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이 재개발 추진 과정에서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성수1지구는 조합 내 갈등과 입찰 조건 논란으로 시공사 선정 절차가 지연되는 반면, 성수2지구는 삼성물산, 포스코이앤씨, DL이앤씨 등 대형 건설사들이 관심을 보이며 연내 시공사 선정이 유력해지는 분위기다. 한강변 핵심 입지로 꼽히는 성수동 일대 개발 속도가 조합의 입찰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이다. 

1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성수2지구 재개발 구역은 비교적 순조롭게 시공사 선정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입찰에서도 경쟁구도가 형성되는 모습이다. 지난 12일 열린 설명회에는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포스코이앤씨, DL이앤씨를 비롯해 9개 건설사가 참여해 열기를 더했다.

조합은 10월 28일 입찰 접수를 마감할 계획이다. 경쟁입찰이 성사되면 연말 중 시공사 선정 총회를 개최하고 시공사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수2지구는 재개발을 통해 13만1980㎡ 부지에 지상 최고 65층 규모 공동주택 2609가구를 짓는 사업으로 총공사비는 약 1조7000억원에 달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성수2지구는 1지구와 달리 입찰 절차에서 잡음이 없는 모습"이라며 "한강 벨트 상징성이 커 치열한 수주전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포스코이앤씨, DL이앤씨를 유력한 수주 후보로 보고 있다. 

성수2지구 옆에 위치한 성수1지구도 비슷한 상황이 예상됐지만, 최근 조합이 내놓은 입찰지침은 2지구와 대비되는 분위기다. 1지구도 2지구와 마찬가지로 시공사 선정 절차에 들어간 가운데 당초 조합이 제시한 입찰지침이 문제가 되며 잡음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대형 건설사들이 앞다퉈 수주 의지를 밝힌 상황에서 성수1지구 조합은 △조합원 로열층 분양 금지 △프리미엄 보장 금지 △책임준공 강화 등을 입찰지침으로 내걸었다. 

이에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경쟁입찰 취지가 무색하게 됐다고 보고, 성수1지구 입찰지침 완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특정 건설사 밀어주기' 의혹이 제기됐다. 결국 두 건설사는 현장설명회에 불참했다. 치열한 경쟁을 통해 사업조건을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는 기회가 단독입찰에 따른 수의계약으로 사라질 우려가 커지자 조합원들 사이에서 불만이 나오기 시작했다. 

논란이 커지자 성수1지구는 경쟁입찰 성사를 위해 입찰지침을 일부 변경하고 재입찰에 나서기로 했다. 수정된 입찰지침에는 기존에 문제가 된 로열층·로열동 배정 허용, 추가 이주비 한도 삭제, 시공사의 책임준공 완화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주비 대출을 담보가치(LTV 100%) 이내로 제한하겠다는 조항도 삭제된 것으로 전해졌다. 

조합은 오는 18일 열리는 대의원 회의를 거쳐 안건이 최종 의결되면 처음부터 입찰 절차를 다시 밟게 될 예정이다. 다만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 등 대형 건설사들이 다시 관심을 보일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특히 일부 조합원들의 불신 여론이 계속되며 사업 신뢰도에도 일정 부분 타격이 불가피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조합이 신뢰를 잃으면 시공사 참여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성수1지구는 이런 갈등 봉합 여부가 우선"이라고 설명했다. 

성수1지구 조합의 한 관계자는 "대의원 회의를 통해 입찰지침 취소와 관련해 결정을 내리게 될 것"이라며 "문제가 된 입찰지침이 취소가 되면 새 지침으로 다시 입찰 공고를 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