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의약품에 고율 관세 예고…"마진 좋아서 車보다 높을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보다 수익성이 높은 반도체와 의약품에 자동차(25%)보다 높은 관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고 예고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영국 방문을 위해 백악관을 나서며 한 기자의 '자동차 관세를 타협해서 25%에서 15%로 낮추면 미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피해를 본다는 우려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을 받고 "난 아무것도 타협하지 않았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이어 자동차에 25% 관세를 처음 부과한 것도 자신임을 강조한 뒤 "그들은 수년간 아무 관세도 내지 않았다. 이제 그들은 15%를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미국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해 일본, 유럽연합(EU)에 투자 약속을 받고, 자동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동의하자 불만을 제기해왔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어떤 것들은 더 많은 관세를 낼 수 있다. 반도체는 더 낼 수 있고, 의약품도 더 낼 수 있다. 반도체와 의약품은 이익률(marjin)이 (자동차보다) 더 높다"고 설명했다. 과거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100%를 거론한 바 있다. 의약품에 대해서도 150~250%의 관세를 암시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잊지 말라. EU는 관세 때문에 우리나라(미국)에 9500억 달러를 내고 있다. 일본은 우리한테 6500억 달러를 지불한다. 내가 오기 전까지 우리한테 아무것도 내지 않았던 기업과 국가들"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정책의 적법성을 최종적으로 따지게 될  연방대법원 소송과 관련해선 "법률 전문가 모두 우리가 이겼다고 말하지만, 여전히 지켜봐야 한다"고 조심스러워하면서도 "(지금까지) 대법원은 훌륭했으며 난 대법원이 매우 공정하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연방대법원은 9명의 대법관으로 구성됐으며, 트럼프 1기 당시 임명한 대법관 3명을 포함해 보수 성향 대법관이 6명이나 포진했다. 이로 인해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과 보수 진영에 유리한 판결을 보여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그 사건을 이긴다면 우리나라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훨씬 더 부유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사람들이 빚을 없앨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우리는 우리 국민을 도울 수 있고 심지어 다른 나라들도 도울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