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제주 4·3 사건'을 언급하며 "국가폭력을 제대로 청산하지 못해 1980년의 광주로, 2024년의 불법 비상계엄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특히 "4·3 정신을 계승하고 미흡한 제도와 법을 보완해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진행된 최고위원회의에서 "77년 전 제주에서도 독재자에 의해 불법 계엄이 선포됐다. 제주도민에 대한 잔인한 살생행위가 자행됐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어 "국가폭력에 의해 무고한 도민들이 목숨을 이뤘다.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눈 해방 이후 최초의 계엄이자 국가폭력"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제주 4·3 사건은 단순한 과거의 비극이 아니다. 국가폭력을 제대로 단죄하거나 청산하지 않아 제주는 1980년 광주로, 2024년 불법 비상계엄 내란사태로 되살아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4·3을 언급하는 건 과거의 불행을 들추는 게 아닌 국가폭력의 재발을 막자는 것이다. 내란청산에 최선을 다하는 일도 과거 실수를 되풀이 하지 않고 미래의 범죄와 악행을 막아내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사건이 발생한 지 77년이 지났지만 희생자들에 대한 명예회복과 진상규명은 현재 진행형"이라며 "2021년 특별법 전면 개정으로 명예회복이 시작됐지만 아직 밝혀야 할 진실이 남아있고 피해보상도 더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은 제주의 눈물이 반복되지 않게 하겠다. 4·3 정신을 계승하고 미흡한 제도와 법을 보완해 유족의 슬픔을 보듬고 희생자의 완벽한 명예회복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