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 도피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이번 주 외교·법무라인 고위직을 잇따라 소환하며 수사를 본격 확대한다.
정민영 특검보는 22일 정례브리핑에서 “23일 오전 10시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을 참고인으로 조사할 예정”이라며 “호주대사 임명 과정에서 외교부의 보고·지시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2023년 3월 호주대사로 임명됐으며, 인사 검증 절차는 같은 해 12월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지난해 1월까지 외교부 수장을 지낸 박 전 장관이 당시 검증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같은 날 오후에는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이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된다. 이 전 비서관은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부터 사임 시기까지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에 근무하며 인사 검증을 담당했다. 특검은 외교부가 인사 검증 자료를 공직기강비서관실로 이첩하고, 이를 다시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으로 보내는 절차에서 이 전 비서관이 관여한 정황을 확인하고 있다.
이어 23일과 24일 오전에는 각각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이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된다. 두 사람은 채상병 사망사건 외압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이 전 장관의 해외 도피를 돕거나 방조한 혐의(범인도피·직권남용)로 고발됐다. 특검은 지난 17일 이 전 장관을 참고인 조사한 데 이어 고위직 연루자들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또한 장호진 전 국가안보실장,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 등도 조만간 조사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23일 오전 10시에는 이 전 장관이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과 관련해 첫 피의자 조사를 받는다. 같은 시각 직권남용 및 모해위증 혐의로 기소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도 여섯 번째 피의자 조사를 앞두고 있다.
아울러 특검팀은 국가인권위원회의 긴급구제 신청 및 진정 기각 사건과 관련해 직권남용 혐의를 받는 김용원 인권위 상임위원 겸 군인권보호관(차관급)이 사용했던 PC 하드디스크를 제출하라고 요청했으며 이날 수령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은 특검이 출발하기 2개월 전인 지난 5월 2일 ‘메인보드 불량’을 이유로 자신의 PC를 교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검팀은 PC 하드디스크 수령 이후 김 위원의 소환 일정을 조율할 방침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주 줄소환을 통해 이 전 장관 해외 임명 및 도피 의혹의 사실관계를 확인하겠다”며 “관계 기관의 보고·지시 여부도 조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