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트럼프,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동의 못 해"

캐롤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캐롤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이 영국과 캐나다, 호주 등 서방국들이 잇달아 팔레스타인의 국가 지위를 인정한 데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점을 매우 명확히 밝혀왔다"는 입장을 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2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결정들이 현재 가자지구에서의 핵심 목표인 인질 석방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분쟁 및 전쟁을 끝내는 데에도 아무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솔직히 말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이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라고 믿는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하마스가 억류한 이스라엘 인질의 석방이 최우선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서방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이런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2023년 10월 이스라엘 민간인에 대한 테러 공격과 같은 무력을 사용해도 외교적 성과를 얻어낼 수 있다는 잘못된 신호를 하마스에 줄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같은 날 레빗 대변인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략 핵무기 수를 제한하는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뉴스타트)을 1년 연장하자고 미국에 제안한 데 대해서도 입장을 전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이 제안을 인지하고 있다"며 "내 생각에는 꽤 괜찮게 들리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 사안에 대해 직접 언급하고 싶어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추후 직접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국가안보회의를 열고 "러시아는 2026년 2월 5일 이후 뉴스타트 조약에 따른 주요 양적 제한을 1년간 계속 고수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러한 조치는 미국이 유사하게 행동하고 현 핵 억지력의 균형을 악화하거나 방해하는 조치를 자제해야만 지속 가능하다고 믿는다"고 말해 미국도 뉴스타트를 자체 연장할 것을 제안하는 취지로 해석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