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최초로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으로 안보리 공개 토의를 주재했다.
이날 미국 뉴욕에서 인공지능(AI)과 국제평화·안보를 주제로 진행된 유엔 안보리 공개 토의에는 안보리 이사국 15개국과 다수의 회원국이 참석했다.
회원국들은 AI 기술 발전이 우리 일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넘어, 국제적인 안보 환경까지 급격히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고 회원국 간 공동의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이 대통령은 국별 발언에서 AI 시대 국제사회가 다자주의적 협력과 연대로 모두의 이익을 위해 협력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국제평화와 안보 분야에서 AI는 무궁무진한 잠재력 및 가능성과 함께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는 만큼, 안보리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막중하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AI의 평화롭고 책임 있는 이용과 인류와 번영을 위한 AI 실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노력을 소개하면서 △AI 기본사회 △모두를 위한 AI가 뉴노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책임과 역할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토의에서 대한민국은 AI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협력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또 유엔의 도움으로 전쟁의 폐허를 딛고 민주화와 경제 번영을 동시에 달성한 대한민국이 인류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해 막중한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있음을 상기 시킨 것으로도 읽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