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화섬, 바이오 기반 친환경 폴리에스터 상용화..."자동차 공략 강화"

  • 식물 원료 활용한 인조가죽 용도로 국내 자동차 내장재 적용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태광그룹 섬유·석유화학 계열사인 대한화섬이 폴리에스터 복합방사 기술을 바이오(BIO) 기반 원료에 접목한 자동차 내장재용 원사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상용화한 원사는 식물성 바이오(BIO) 원료를 활용해 만든 고기능 친환경 폴리에스터다. 특히 복합 방사(Composite spinning) 방식을 적용해 품질 안정성을 확보했다. 이 원사는 친환경 인조가죽용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고 천연 스웨이드와 유사한 질감을 가졌다. 오염을 방지하는 특성도 장점이다.

복합 방사 방식은 이종 폴리머를 동시에 방사하여 원사를 만드는 고도의 방사기술이다. 극세사를 생산할 때 주로 활용하는 일반 방사 방식은 생산성과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복합 방사 방식은 극세한 원사를 보호하며 원사를 만들 수 있어 품질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대한화섬은 복합 방사 방식으로 해도사, PN분할사, 잠재권축사, LM 등의 소재도 생산하고 있다.

이번에 상용화한 바이오 소재는 최근 국내 완성차 브랜드의 신규 차종에 적용될 예정이다. 대한화섬은 일반 페트(PET) 병을 재활용한 리사이클 소재도 자동차 내장재에 활용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 친환경 소재 활용에 대한 중요도가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한화섬의 바이오 소재는 자동차 업계와 중요한 파트너십 요소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화섬은 향후 국내 자동차 브랜드의 글로벌 현지 생산 거점에서 친환경 소재 확대 적용을 위한 연구 개발 파트너로 동참할 예정이다.

대한화섬 관계자는 "이번 소재 개발은 바이오 기반 원료를 활용해 리사이클한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산업 분야에 활용돼 지속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입증한 사례"라며 "섬유·인테리어 분야뿐 아니라 자동차 내장재·수처리 필터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적용 분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화섬은 1963년 대한합성섬유주식회사로 설립해 60년 이상 폴리에스터 원사와 복합 소재를 개발해왔다. 최근에는 태광그룹에서 추진하는 친환경·바이오 기반 섬유 생산 체계 구축 등 지속가능성 중심의 사업 확장 방향에 발맞춰 자동차 내장재의 친환경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