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는 협력사 신기술 개발 지원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역량 강화, 산업 안전 활동 컨설팅 등 다채로운 상생 프로그램으로 동반성장 모범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협력사와의 상생 활동을 정리하고, 업계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동반성장 안내책자를 발간했다. 책자에는 최근 운영하는 대·중소기업 상생 프로그램의 활동과 성과가 담겼다.
특히 올해 협력사 ESG 역량 강화를 위해 탄소배출량을 체계적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전과정평가(LCA) 컨설팅'을 도입했다. 전과정 평가는 제품의 원재료부터 생산·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투입물과 산출물을 분석해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 제도로, 최근 글로벌 고객사의 탄소배출 산정 요구에 대응해 도입됐다.
또 모빌리티 소프트웨어(SW) 분야 인재를 육성해 협력사 채용으로 이어주는 '모비우스 부트캠프'도 올해 새롭게 선보여 협력사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이 프로그램은 총 300명을 선발해 모빌리티 SW 분야 특화 교육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공급망 관리를 비롯해 투명한 거래 및 대금 제도, ESG와 산업안전, 기술 지원 및 지식재산권 보호 등 다양한 협력사 지원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도 포함됐다.
실제 최근 3년간 현대모비스는 국내 협력사의 신제품 및 신기술 개발을 위해 총 1800억 원의 지원했으며, 협력사와 공동으로 출원한 특허도 850건을 돌파했다.
현재 국내외 약 4100여개 협력사와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동반성장 문화 조성 △지속가능 환경 조성 △소통과 신뢰라는 4대 전략을 중심으로 상생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6년 연속 '최우수 등급' 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