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게임, 중독 물질 아냐…진정한 수출·국부 창출 큰 도움"

  • "마약과 함께 4대 중독 규정해 中 앞섰던 산업 추월" 지적

  • "정부 정책 방향 바꿔 세계적 문화 산업 국가로 만들겠다"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국내 게임사 크래프톤의 게임ㆍ문화 플랫폼 서울 성동구 펍지 성수에서 열린 K-게임 현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국내 게임사 크래프톤의 게임ㆍ문화 플랫폼 서울 성동구 '펍지 성수'에서 열린 K-게임 현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문화 강국 실현을 위한 '문화주간'의 첫 현장 행보로 게임 산업 현장을 찾아 세계 3위 게임 강국으로 도약을 선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성동구 PUBG 성수에서 게임 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산업 진흥 방안 등을 논의했다. 간담회에 앞서 이 대통령은 슈팅 게임 '배틀그라운드'의 굿즈를 살펴보거나 체험형 게임 '인조이'를 직접 체험하며 산업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정욱 넥슨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방준혁 넷마블 의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를 비롯해 이실운 게임 음악 작곡가, 김소연 갤럭틱엔터테인먼트 대표, 유승현 원더포션 대표, 장누리 유니온 대표 등 산업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게임은 중독 물질이 아니다"라며 "자원이 부족한 대한민국에서 게임 수출은 진정한 수출이자 국부 창출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강조해 참석자들로부터 '환호'를 받았다.

이어 "(게임) 과몰입 등 부작용은 부작용대로 대처하고 해결해 나가면 된다"며 "기술이 발전하면서 시간을 재미있게 보내는 것 자체가 중요한 삶의 일부가 될 텐데 억압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제가 어릴 때는 만화책을 보는 게 공부 안 하는 학생의 행동으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만화가 큰 산업이 됐다"며 게임도 같은 맥락에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 대통령은 정부가 게임을 마약 등과 함께 '4대 중독'으로 규정하면서 억압한 탓에 중국을 앞섰던 우리 산업이 추월당했다고 꼬집으며 정책의 변환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게임은) 문화 산업의 초기 형태인데, (그동안) 정부 정책과 엇박자를 빚으면서 매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 것 같다. 이제는 정책 방향도 바꾸고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 산업 국가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정부의 생각"이라며 게임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게임 산업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노동 환경 개선 등 풀어가야 할 숙제도 많다고 짚었다.

이 대통령은 "사업자나 개발자뿐 아니라 고용된 청년들의 최소한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거나 소모품으로 사용되고 버려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며 "특정 소수가 (산업을)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들이 기회와 이익을 함께 나누는 산업으로 만들 것인지를 논의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이번 주를 '문화주간'으로 지정하고 △문화 강국 실현 전략 △문화와 연계된 소비재 수출 확대 △K-컬처 수출 인프라 개선 △문화예술인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해 종합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