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TF에는 기후부를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부 등 10개 부처가 참여했으며 각 부처는 추진중인 관련 정책과 기술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기후테크 산업 육성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방향을 논의했다.
기후테크는 기후와 기술의 합성어로 UN 기후변화협약에 따르면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는 혁신 기술을 의미한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이를 '클린테크', '카본테크', '에코테크', '푸드테크', '지오테크'의 5개 분야로 구분하고 있다.
회의 참석자들은 각 부처별로 관련 사업 진행현황, 제도 개선사항 등 그간의 정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부진 사항에 대한 개선대책 및 향후 정책과제 등을 상호 논의할 계획이다.
안세창 기후부 기후에너지정책실장은 "기후테크 산업은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과 국제사회의 기후 위상(리더십)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후테크 기반의 혁신 기업들이 우리나라의 탄소 감축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견인할 수 있도록 전주기 집중투자, 국내외 시장창출 등을 포함한 효과적인 정책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범부처 역량 결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