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부산대와 '재진입 비행체' 개발 나선다

  • 기술 협력 업무협약 체결

왼쪽부터 김지홍 KAI 전무 이대우 부산대 교수 사진KAI
(왼쪽부터) 김지홍 KAI 전무, 이대우 부산대 교수 [사진=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부산대학교와 '우주모빌리티 사업화를 위한 재진입 비행체 개발 기술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KAI와 부산대는 업무협약을 통해 △재진입 비행체 개발사업 탐색 연구 △재사용 우주비행체 연구 △재사용 발사체 연구 개발 등 국내외 시장에서 상업화할 수 있는 우주모빌리티 핵심 기술 개발을 협력할 예정이다.

이대우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대기권 재진입 비행체의 유도제어, 비행 제어 및 궤적 설계·해석 등의 핵심 기술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우주항공청의 '재진입 비행체 개발사업 탐색연구 과제'를 진행 중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위성 및 발사체 등 우주사업과 고정익, 회전익을 망라한 다양한 항공기 개발·제조 역량을 보유한 KAI가 컨소시엄에 참여하면서 상호 전문 분야에서 시너지가 기대된다.

KAI는 다목적실용위성, 정지궤도복합위성, 차세대중형위성, 초소형위성, 425 위성 등 정부 추진 위성개발 사업과 힌국형 발사체 총조립 등 위성과 발사체를 아우르는 우주전문기업으로 뉴스페이스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

또 궤도상 서비스 시장으로의 진출을 준비하기 위해 재진입 비행체의 일종인 재사용 우주비행체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비행체는 재사용을 통해 운용 및 발사 비용을 절감하고 우주모빌리티의 다목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될 예정이다.

저궤도 우주 물류 수송 및 우주 관광의 수요가 생겨나고 미래 전장 환경이 우주 공간으로 확대되면서, 서비스 시장 선점과 전장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해 세계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지구 재진입 비행체가 개발되고 있다.

재사용 발사체와 재사용 우주비행체 등 지구 재진입 비행체 개발은 우주 궤도시험, 우주 생산, 우주 바이오, 우주 탐사 등 향후 펼쳐질 미래 시장 진입에 핵심이 될 전망이다.

김지홍 KAI 원장은 "재사용을 통한 경제성 확보가 앞으로 우주사업의 핵심"이라면서 "이번 산·학 협력을 통해 재진입 비행체의 핵심 기술 고도화가 기대되며, 이는 국가 차원의 우주 관련 핵심 기술 확보와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의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