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은 경기도 용인 죽전에 위치한 '용인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를 준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퍼시픽자산운용이 발주하고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와 신한금융투자가 공동 투자한 총 1조3000억원 규모의 사업이다. 연면적 9만9125㎡(약 3만평) 부지에 데이터센터 2개 동과 부속시설이 조성됐다.
용인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는 IT 로드 64㎿와 수전 용량 100㎿의 전력 인프라를 갖춘 국내 초대형 데이터센터다. 이는 약 16만~20만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 클라우드·인터넷·정보통신 등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가 급증하는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10㎾ 이상 고밀도 운용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됐다.
2022년 2월 착공 이후 약 43개월 만에 준공된 용인 죽전 데이터센터는 특화 공정관리 역량과 시공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공사를 마쳤다.
협소한 도심형 부지 여건을 고려해 지하 굴착과 지상 골조를 병행하는 STD 공법을 적용하고, 프리컨스트럭션 사전기획 서비스, 패스트트랙 공정 운영 등을 통해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면서 공사 기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했다.
또 첨단 설비 제어 기술과 에너지 절감형 운영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과 운영 안정성도 극대화했다. 고효율 냉방 시스템과 프리쿨링 기술,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효율지표(PUE) 1.3을 달성했다.
아울러 국제 인증 기준인 '티어 3 이상' 수준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충족해 24시간 무중단 운영이 가능한 고신뢰성 인프라를 구현했다. 데이터센터 핵심 구간에는 비상발전기·무정전전원장치(UPS)·냉동기 등이 이중화·삼중화돼 한쪽 라인이 멈춰도 다른 라인이 즉시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운영 체계를 갖췄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용인 죽전 데이터센터 준공은 디지털 산업의 고도화 속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프라 구축 역량을 입증한 사례"라며 "수도권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디지털 인프라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AI·클라우드 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친환경 데이터센터 모델을 지속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