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4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미팅에서 참석자 질문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10·15 부동산 대책' 이후에도 동반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서울과 30대를 중심으로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신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책의 시장 반영에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핵심 표심층의 민심 변화로 단정하긴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56%로 전주 대비 2%포인트(p) 상승했다. 반면 부정 평가는 33%로 2%p 하락했다. 민주당 지지율도 같은 기간 43%로 4%p 올라 한 달 만에 40%대를 회복했다.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긍정적으로 보는 응답자는 '경제·민생(19%)', '외교(14%)', '전반적으로 잘한다(7%)', '소통(7%)' 순으로 이유를 꼽았다. 반면 부정적으로 본 응답자들은 '외교(15%)', '부동산 정책·대출 규제(11%)', '친중 정책·중국인 무비자 입국(9%)', '경제·민생(8%)' 순으로 이유를 들었다.
한국갤럽 관계자는 "경제·민생에 대한 긍정 인식이 늘었지만, 부동산 정책과 대출 규제에 대한 불만이 부정 평가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10·15 대책 이후 민심이 양분된 흐름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연령별로는 40대(75%)와 50대(74%)의 긍정 평가가 높았지만, 30대(49%)와 70대 이상(49%)은 과반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20대는 긍정 평가가 34%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33%)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긍정 평가가 50%를 넘었다. 서울은 55%, 인천·경기 59%, 부산·울산·경남 50%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정책의 실효성이 시장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형준 배재대 석좌교수는 전날 YTN '뉴스ON'에 출연해 "어느 정도 여론은 반영됐지만, 정책 효과는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전"이라며 "서울·경기 일부가 핵심 지역이라, 향후 여론이 어떻게 바뀔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배종찬 인사이트K 연구소장도 "정책 영향이 확장되기 전 초기 국면으로, 단기 여론만 보고 성패를 단정하기는 어렵다"며 "부동산 정책을 지지하는 기반은 여전히 영포티(40대)와 화이트칼라층 중심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배 소장은 "서울과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등 핵심 지역에서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49%, 48%로 높게 나타난 만큼 정책 설계의 정교함과 지역별 형평성이 향후 민심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최근 NBS(전국지표조사) 여론조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 NBS 10월 3주 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평가는 긍정 56%, 부정 35%로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와 거의 일치했다.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신뢰도는 '신뢰한다 57%', '신뢰하지 않는다 39%'로 집계됐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39%, 국민의힘 23%, 개혁신당 4%, 조국혁신당 3%, 진보당 1%, 태도유보 29%로 조사됐다.
배 소장은 "갤럽과 NBS 모두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이 나란히 오르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지만,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절반에 못 미친다"며 "지지율 상승이 정책 성과로 이어질지는 시장 안정 여부와 정책 체감도에 달려 있다"고 진단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이 지난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전국지표조사(NBS)는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조사기관이 10월 13~15일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두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및 NBS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는 56%로 전주 대비 2%포인트(p) 상승했다. 반면 부정 평가는 33%로 2%p 하락했다. 민주당 지지율도 같은 기간 43%로 4%p 올라 한 달 만에 40%대를 회복했다.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긍정적으로 보는 응답자는 '경제·민생(19%)', '외교(14%)', '전반적으로 잘한다(7%)', '소통(7%)' 순으로 이유를 꼽았다. 반면 부정적으로 본 응답자들은 '외교(15%)', '부동산 정책·대출 규제(11%)', '친중 정책·중국인 무비자 입국(9%)', '경제·민생(8%)' 순으로 이유를 들었다.
한국갤럽 관계자는 "경제·민생에 대한 긍정 인식이 늘었지만, 부동산 정책과 대출 규제에 대한 불만이 부정 평가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10·15 대책 이후 민심이 양분된 흐름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정책의 실효성이 시장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형준 배재대 석좌교수는 전날 YTN '뉴스ON'에 출연해 "어느 정도 여론은 반영됐지만, 정책 효과는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전"이라며 "서울·경기 일부가 핵심 지역이라, 향후 여론이 어떻게 바뀔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배종찬 인사이트K 연구소장도 "정책 영향이 확장되기 전 초기 국면으로, 단기 여론만 보고 성패를 단정하기는 어렵다"며 "부동산 정책을 지지하는 기반은 여전히 영포티(40대)와 화이트칼라층 중심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배 소장은 "서울과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등 핵심 지역에서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49%, 48%로 높게 나타난 만큼 정책 설계의 정교함과 지역별 형평성이 향후 민심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최근 NBS(전국지표조사) 여론조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 NBS 10월 3주 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평가는 긍정 56%, 부정 35%로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와 거의 일치했다.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신뢰도는 '신뢰한다 57%', '신뢰하지 않는다 39%'로 집계됐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39%, 국민의힘 23%, 개혁신당 4%, 조국혁신당 3%, 진보당 1%, 태도유보 29%로 조사됐다.
배 소장은 "갤럽과 NBS 모두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이 나란히 오르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지만,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절반에 못 미친다"며 "지지율 상승이 정책 성과로 이어질지는 시장 안정 여부와 정책 체감도에 달려 있다"고 진단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이 지난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전국지표조사(NBS)는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조사기관이 10월 13~15일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두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및 NBS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