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重, LNG 화물창 국산화 성공...상업 LNG선에 최초 탑재

  • 민간 LNG선 화물창 교체 완료...레이저 고속용접 로봇도 투입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전경 사진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전경. [사진=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이 7500㎥급 LNG운반선에 한국형 LNG 화물창(KC-2C)을 탑재하고 인도하면서 한국형 LNG 화물창 시대를 본격화한다.

삼성중공업은 대한해운LNG와 협력해 한국형 화물창 KC-2C를 상업용 LNG 운반선에 최초로 탑재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LNG 운반선은 이달 인도돼 통영에서 제주 애월 LNG기지까지 LNG 수송 첫 항차를 순조롭게 마쳤다.

삼성중공업과 대한해운LNG는 지난 해 8월 LNG 운반선의 기존 화물창을 KC-2C로 개조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후 거제조선소에서 공사를 진행해 왔으며 최근 가스 시운전을 완료 하고 인도했다.

KC-2C는 외국에 의존해 온 LNG 화물창의 기술 자립을 위해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한국형 화물창 기술이다. 기존 화물창과 비교해 2차 방벽 설계과 시공 방법을 개선해 기밀성,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춘 게 특징이다.

삼성중공업은 KC-2C 개발을 위해 지난 2020년 목업 테스트를 마쳤고 2021년 구축된 LNG 실증설비에서 화물창 핵심 기술의 내재화에 주력해왔다.

또 2023년 10월에는 삼성중공업이 자체 투자해 활용하고 있는 다목적 LNG 벙커링 바지선 '그린누리호'에 KC-2C를 탑재해 거제조선소에서 LNG 해상 벙커링, 냉각 시험, 가스 시운전 등 실증을 병행했다.

지난 2년간 그린누리호는 총 123회 LNG 벙커링을 수행함으로써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실적을 쌓으며 KC-2C의 안정성을 입증했다고 삼성중공업 측은 설명했다.

영하 163도의 액화천연가스가 직접 닿는 화물창 내 멤브레인 시트 시공은 LNG 화물창 공사에서도 고난도 작업으로 꼽힌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KC-2C의 멤브레인 용접 작업에 독자 개발한 '레이저 고속용접 로봇'을 투입해 생산 효율을 크게 개선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한국형 LNG 화물창 KC-2C의 성공은 그동안 외국에 의존해 온 핵심 기술을 마침내 국산화함으로써 한국이 세계시장 1위를 점유하고 있는 LNG 운반선 분야에서 의미있는 진전을 이뤘다"며 "향후 17만4,000㎥급 LNG 운반선의 개조 및 신조를 통해 KC-2C 화물창이 시장에서 평가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