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은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27일 방산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아세안 정상회의 기간 한-말레이시아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뤄졌으며, 석종건 방사청장과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 말레이시아 국방부 장관이 서면으로 체결했다.
방사청은 이번 MOU를 통해 말레이시아 군이 추진 중인 전투기, 함정, 유도무기 등 핵심 무기체계의 현대화 사업에서 양국 정부와 기업이 실질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양국은 단순한 무기체계 조달을 넘어 국방 기술 분야 협력·공동 연구개발 추진, 군수 물자 공동 생산, 제3국 공동 마케팅 등으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정례적인 방산 공동위원회 운영을 통해 협력 현안을 점검하고, 파트너십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는 믈라카 해협 등 해상 물류 요충지에 자리 잡아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녔다. 최근 육·해·공 전반에서 국방력 현대화 수요가 커지고 있으며, 경제적 무기 체계 도입과 자국 방산 역량 강화를 위해 서구권 중심의 협력에서 벗어나 한국을 새로운 핵심 파트너로 선택하며 협력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양국은 1993년 K200 장갑차 수출 이래 신뢰를 구축해왔으며, 2023년에는 FA-50 경공격기(18대·9억2천만달러)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협력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이로써 우리와 방산 협력 MOU를 체결한 국가는 52개국으로 늘었다.
이번 MOU는 아세안 정상회의 기간 한-말레이시아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뤄졌으며, 석종건 방사청장과 모하메드 칼레드 노르딘 말레이시아 국방부 장관이 서면으로 체결했다.
방사청은 이번 MOU를 통해 말레이시아 군이 추진 중인 전투기, 함정, 유도무기 등 핵심 무기체계의 현대화 사업에서 양국 정부와 기업이 실질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양국은 단순한 무기체계 조달을 넘어 국방 기술 분야 협력·공동 연구개발 추진, 군수 물자 공동 생산, 제3국 공동 마케팅 등으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정례적인 방산 공동위원회 운영을 통해 협력 현안을 점검하고, 파트너십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양국은 1993년 K200 장갑차 수출 이래 신뢰를 구축해왔으며, 2023년에는 FA-50 경공격기(18대·9억2천만달러)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협력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이로써 우리와 방산 협력 MOU를 체결한 국가는 52개국으로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