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헌 SKT 신임 CEO "엣지 AI로 국대 인프라 기업 도약"

  • 3일 SK 서밋 개최…정재헌 SKT 신임 CEO 첫 공식 석상 올라

 정재헌 SKT CEO가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발표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정재헌 SKT CEO가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발표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정재헌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가 '엣지 인공지능(AI)'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인프라 전략을 공식화하며 글로벌 AI 인프라 시장의 주도권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그는 "AI 대전환의 중심에서 통신망이 다시 핵심이 되고 있다"며 "엣지 AI 인프라로 대한민국을 글로벌 AI 허브로 도약시키겠다"고 선언했다.

3일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서밋'을 통해 정재헌 CEO는 취임 이후 처음 공식 무대에 올라 AI 인프라 전략 방향을 직접 제시했다. 그는 "AI 혁신은 더 이상 서비스의 영역이 아니라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인프라의 문제"라며 "SKT는 통신사가 가진 전국망과 저지연 네트워크를 AI 인프라의 뼈대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CEO는 SKT가 준비 중인 차세대 AI 인프라 전략의 핵심을 '엣지 AI'로 요약했다. 기존의 초대형 데이터센터나 온디바이스 구조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초저지연·저비용 인공지능 환경을 통신망 가장자리에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네트워크는 SKT의 본질적 경쟁력"이라며 "전국망에 엣지 노드를 촘촘히 배치해 이용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AI 연산을 처리하는 차세대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AI 연산 비용 절감, 즉시 응답형 서비스, 산업별 맞춤형 AI 환경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SKT는 이미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아마존과 약 7조 원 규모로 울산 AI 데이터센터(AIDC) 건립에 착수했으며, 10월에는 오픈A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전용 데이터센터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정 CEO는 "이들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형 AI 인프라 모델을 수출하겠다"며 "울산을 기점으로 싱가포르·말레이시아·베트남으로 AIDC 네트워크를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SK이노베이션과 협력해 에너지·IT 융합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며, 발전소 전력을 활용한 고효율 AI 클러스터 구축이 핵심이다.

국내 시장에서도 SKT는 AI 고성능 인프라를 내재화하고 있다. 최신 GPU 1000여 장으로 구성된 '해인'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진행 중이며, 그룹 계열사 제조 인프라와 결합한 '산업형 AI 모델' 구축도 병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SK하이닉스 등 그룹 제조현장에 SKT의 AI 인프라를 접목, 디지털 트윈과 제조 특화 로봇 모델을 개발 중이다. 엔비디아와 협력한 제조 전용 AI 클라우드도 내년 중 공개할 예정이다.

정 CEO는 "제조 AI는 국가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며, SKT는 통신-제조 융합형 AI 모델로 산업 전반의 효율화를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AI 데이터센터의 최대 과제인 비용과 구축 속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SKT는 자체 AIDC 통합 솔루션 사업에도 나선다. 서버 클러스터링과 전력 효율 시스템, 냉각 솔루션을 그룹사 공동개발 형태로 내부화하고 있으며, 일부는 슈퍼마이크로 등 글로벌 파트너사와 공동 설계 중이다. SKT는 이 솔루션을 기반으로 국내외 AI 데이터센터 구축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정재헌 CEO는 "AI 인프라의 완결성은 하드웨어보다 '통합 솔루션화'에서 나온다"며 "설계부터 운영까지 아우르는 AIDC 종합 솔루션 공급사로 자리 잡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