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완성차, 신용등급 줄하락...현대차·도요타 '선방' 눈길

사진현대차
[사진=현대차]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 관세 영향 등으로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의 신용등급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와 도요타가 유일하게 경영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9일 관련업게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는 최근 현대차의 신용등급을 A-, 도요타는 A+로 신용등급을 유지했고 전망도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피치는 무디스, 스탠더드앤푸어스(S&P)와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로 꼽힌다. 피치의 신용등급 체계상 A+는 20개 등급 중 상위 5번째, A-는 7번째에 해당한다. 두 등급 모두 신용 상태가 양호해 신용위험이 낮다는 의미다.

피치는 현대차와 도요타에 대해 "미국 상호 관세에 따른 단기 수익성 저하에도 제품 및 브랜드 경쟁력과 판매지역 및 파워트레인 다변화, 재무 건전성을 고려해 신용등급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폭스바겐, 혼다, 닛산 등 다른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의 신용등급과 전망은 일제히 하향했다. 혼다와 폭스바겐은 각각 A와 A- 등급을 유지했으나 전망은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낮아졌다. 부정적 전망은 보통 2년 이내 기업의 신용등급이 강등될 수 있다는 의미다. 닛산 역시 투자부적격 등급인 BB로 강등됐다.

폭스바겐의 경우 중국 시장 내 경쟁 심화와 함께 현금흐름 감소가, 혼다는 자동차 수익성이 낮아진다는 점이 사유라는 게 피치 측 설명이다.

특히 현대차와 도요타의 경우 친환경차 경쟁력이 평가에 긍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창호 한국투자증권 위원은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친환경차 선호도가 높아지며 친환경차 라인업을 갖춘 현대차와 도요타의 약진이 두드러진다"며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전기차 보조금과 최저 연비 기준(CAFE) 관련 벌금이 없어지며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보유한 한국과 일본 완성차의 점유율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무디스와 S&P도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에 대한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올해 폭스바겐을 A3에서 Baa1으로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했으며, 도요타는 '긍정적'에서 '안정적', 스텔란티스는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했다.

스탠더드앤푸어스도 혼다(A-), 스텔란티스(BBB), 포드(BBB-) 등의 전망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올해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A 등급 이상이면서 전망이 하향 조정되지 않은 자동차 업체는 현대차가 유일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