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가 잇달아 대규모 현지 투자를 발표하면서, 유럽이 AI 인프라 전쟁의 핵심 무대로 부상했다.
11일(현지시간) 구글은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9년까지 총 55억 유로(약 9조3000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인근 도시에 새 데이터센터를 짓고, 기존 하나우 센터도 확장할 계획이다.
구글은 유럽의 데이터 역외 반출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AI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필요한 전력은 에너지 기업 엔지(Engie)로부터 청정에너지를 공급받으며, 2026년까지 탄소 배출이 없는 에너지 사용 비율을 85%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독일 정부는 이번 투자를 “독일을 AI 산업 거점으로 만드는 상징적 행보”라고 평가했다. 다만 정부 보조금은 제공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MS도 포르투갈 시네스에 100억 달러(약 14조6000억원)를 들여 대형 데이터센터를 짓는다. 엔비디아·스타트캠퍼스 등과 협력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웹 서밋 리스본 2025’에서 공식 발표됐다.
MS의 브래드 스미스 사장은 “이번 투자가 포르투갈을 유럽 내 ‘책임 있는 AI 개발 국가’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럽 내 AI 경쟁은 이미 달아오르고 있다. 엔비디아는 독일 도이체텔레콤과 함께 10억 유로(약 1조6000억원)를 들여 뮌헨에 세계 최초의 AI 산업단지를 조성 중이다. AI 챗봇 ‘클로드’를 운영하는 앤트로픽도 프랑스 파리와 독일 뮌헨에 새 사무소를 열었다.
유럽연합(EU)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AI 관련 규제 완화와 법 개정 검토에 들어갔다. ‘AI 패권’의 축이 미국에서 유럽으로 옮겨가는 서막이 열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