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 해제 기대감으로 급등했던 기세를 잃고 혼조로 마감했다. 소프트뱅크의 엔비디아 지분 매각 소식에 기술주 중심의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조정을 받은 반면 제약주 등 전통 산업 업종이 강세를 보이며 순환매 흐름을 연출했다.
1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59.33포인트(1.18%) 뛴 4만7927.96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4.18포인트(0.21%) 상승한 6846.61, 나스닥종합지수는 58.87포인트(0.25%) 내린 2만3468.30에 장을 마쳤다.
연방 정부 셧다운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주 금요일 오후부터 전날까지 미국 주가지수는 가파르게 올랐다. 나스닥 지수는 7일 장 중 저점 2만2563에서 전날 종가 2만3527까지 약 1000포인트나 급등했다.
이 영향으로 엔비디아, 브로드컴, TSMC, ASML이 일제히 1%대 하락했고 AMD는 2.65% 떨어졌다. 인공지능(AI) 관련주 매도세 속에 오라클(-1.94%)과 팔란티어(-1.37%)도 약세를 보였다.
로건캐피털매니지먼트의 빌 피츠패트릭 매니저는 "기술 기업들은 현금 흐름이 빠른 기업"이라며 "현재 이들의 가치를 고려하면 부정적인 뉴스가 조금만 나와도 투자 심리가 반전되고 가치주에 유리한 반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기술주에서 빠져나온 자금은 제약·소비재 등 전통 산업주로 이동했다. 제약주 중 가장 시총이 높은 일라이릴리는 2.27% 올랐고 암젠은 4.57% 뛰었다. 월마트와 비자, 코카콜라 등 경기 방어 성격의 전통 산업주도 강세였다. 애플은 AI에는 소극적이지만 탄탄한 현금 흐름과 사업 구조로 오히려 2.16% 오르며 시가총액 4조 달러를 회복했다.
업종별로는 기술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의료건강은 2.33% 뛰었으며 에너지와 소재, 필수소비재, 부동산도 1% 이상 상승했다.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시총 1조 달러 이상의 주요 대형 기술주도 강보합권에 머물렀다.
한편 '빅쇼트'의 실제 인물인 마이클 버리는 오라클과 메타를 콕 집어 감가상각비 축소를 통해 실적이 부풀려졌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했다.
경제지표는 약화 흐름을 보였다. 미국 고용 통계업체 ADP에 따르면 최근 4주간 민간 고용 예비치가 주 평균 1만1250명 감소를 기록했다. 앞서 10월에는 전월 대비 4만2000명 증가를 기록했지만 둔화 조짐이 나타났다.
한편 이날은 재향군인의 날로 채권시장이 휴장한 가운데 뉴욕증시는 거래량이 평소보다 적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12월 기준금리 동결 확률은 32.6%로 전날(37.6%)보다 낮아졌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32포인트(1.82%) 내린 17.28을 가리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