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중동·아프리카 순방길에 오른다.
이번 일정은 7박 10일간 아랍에미리트(UAE)와 남아프리카공화국, 튀르키예 등을 방문하는 정상외교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현지시간) UAE 수도 아부다비에 도착해 18일부터 본격적인 일정을 시작한다.
이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하얀 UAE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 인공지능(AI)·방위산업 등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계획이다.
19일에는 양국 경제인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행사가 예정돼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이 참석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후 이 대통령은 이집트로 이동해 20일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카이로대학 연설 등 일정을 소화한다. 카이로대 연설에선 한국 정부의 대(對)중동 구상을 소개할 예정이다.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22∼23일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총 3개 세션에 참석해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후변화와 재난, 공정한 미래 등에 관해 논의한다. 한국이 주도하는 중견 5개국 협의체인 '믹타'(MIKTA) 소속국 정상들과의 회동도 예정돼 있다.
이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를 마친 뒤 마지막으로 튀르키예의 수도 앙카라를 방문,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및 MOU 서명식 등 일정을 소화한 뒤 귀국한다.
정부는 이번 순방에서 AI·방위산업·문화 협력 성과를 내기 위해 막판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정상회의 참석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강조해 온 '국익 중심 실용외교'를 안정적 궤도에 올린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아울러 G20을 계기로 인근 중동·아프리카 국가를 여럿 방문하는 데에는 격변하는 국제 질서에서 대안적 협력 공간으로 꼽히는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있는 제3세계 국가들)로 외교 영역을 확장하겠다는 구상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