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1450원대가 사실상 '뉴노멀'이 되면서 실물경제, 더 나아가서는 금융업권까지 위기감이 번지고 있다. 당장 환율 직격타를 맞은 기업을 중심으로 높아지는 대출 연체 위험이 시중은행의 잠재 부실여신 증가로 직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2.3원 오른 1467.9원에 마감했다. 환율은 지난 7일 이후 10거래일째 1450원을 웃돌고 있다. 시장에서는 환율이 한동안 1450원대를 중심으로 큰 변동폭을 보일 뿐 아니라 내년에도 1300원대로 돌아가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NH선물은 2026년 환율의 연간 상단을 1540원, 하단을 1410원으로 제시했다. DS투자증권도 내년 환율 평균값으로 1406원을 제시했다.
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달러 인덱스가 2.8% 반등하는 동안 원화 가치는 8.1% 급락하는 등 다른 통화 대비 원화 약세가 유달리 심했다"며 "원·달러 환율은 2027년 이후는 돼야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기업 경영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면서 금융권 건전성 부담으로 연쇄 작용하는 모습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3분기 말 기준 요주의여신(연체 1~3개월) 합계는 18조3490억원으로 집계됐다.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1분기 이후 최대치다.
요주의 단계보다 부실이 더 심한 고정이하여신(NPL·연체 3개월 이상)도 9조2682억원으로, 1년 전(7조8651억원)보다 18% 늘어 역대급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금융권 내부에서는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연체 전단계 위험까지 합치면 체감 리스크는 훨씬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 악화 상황에서 환율 쇼크까지 겹치며 기업들의 상환 능력이 빠르게 약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금융지주에서는 당장 내년도 경영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금융당국이 강조해온 생산적 금융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업대출을 늘려야 하지만 수출기업과 중소기업의 환율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사업계획부터 투자, 자금조달까지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게 됐다. 기업대출을 무리하게 확장했다가 자칫 대손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어 방향타를 세우기 어렵게 됐다.
이에 은행권에서는 중소기업대출에 한해서라도 위험가중치 완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기업대출 확대와 환율 상승이 동시에 진행되면 은행은 건전성 관리에 대한 이중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곧 환율 상승이 기업대출의 공급 여력 자체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의미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환율 수준은 단기 이벤트가 아니라 구조적 변수로 봐야 하는 만큼 내년은 거대 리스크를 견디며 버텨내는 해가 될 수 있다"며 "요주의여신·부실채권 증가로 충당금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위험가중자산 부담까지 커지면 자본여력이 더 줄어 생산적금융 전환 역시 속도를 내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