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11번가, 한국서비스품질지수 이커머스 부문 18년 연속 1위 11번가는 2025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조사에서 이커머스 부문 1위에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지난 2008년 서비스 론칭 이래 18년 연속 정상에 오른 것이다. KS-SQI는 한국표준협회(KSA)가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서비스품질 표준평가 모델로, 국내 서비스산업 품질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고객만족도 지표다. 이번 평가에서 11번가는 서비스 전문성, 서비스 결과 품질, 사회적 가치 등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11번가는 "변화하는 이커머스 환경과 소비 트렌드 2025-07-03 09:55:09
-
엠로, 구매 솔루션에 AI 에이전트 기능 탑재 엠로는 자사의 구매 솔루션에 다양한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능을 탑재한다고 3일 밝혔다. 엠로의 AI 에이전트는 고객사 환경에 최적화된 다양한 대형언어모델(LLM) 기반으로 구매 업무에 필요한 앱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 호출 및 도구 활용, 기업 내 축적된 구매 관련 데이터나 문서 기반 검색증강생성(RAG) 검색, SQL 쿼리 생성을 통한 데이터 분석 및 결과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AI가 다양한 내·외부 리소스에 접근하거나 외부 시스템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활용되는 MCP 관련 기능을 2025-07-03 09:37:38
-
SK네트웍스 "웰니스 로보틱스 '나무엑스', 상반기 주요 성과" SK네트웍스가 자회사를 통해 공개한 웰니스 로보틱스 브랜드 '나무엑스(NAMUHX)'를 올해 상반기 주요 성과로 꼽았다. SK네트웍스는 사내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SK네트웍스 및 자회사들의 상반기 의미있는 성과들을 정리해 사내방송 및 유튜브 채널에 게시했다고 3일 밝혔다. '2025년 상반기 하이라이트' 영상에 따르면 나무엑스 쇼케이스 개최를 비롯해 스피드메이트의 브랜드 로고 디자인 리뉴얼, 워커힐과 글로벌 아티스트 제이슨 아티엔자의 협업 등이 SK네트웍스의 특별한 순간으로 꼽혔다. 2025-07-03 09:17:41
-
LG화학, 인재 육성도 AI...신학철 부회장 "치열하게 도전하자" LG화학이 임직원의 경력개발과 성장 기회 발굴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한다. LG화학은 지난 1일부터 4일간 임직원이 스스로 경력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성장의 기회를 탐색하는 '제3회 커리어 위크(Career Week)'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커리어 위크는 '리더가 리더를 육성한다'는 LG화학의 인재육성원칙 아래 사내외 경영진과 리더들을 초청해 임직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성장 기회를 발굴할 수 있도록 강연과 멘토링 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LG화학 고유의 육성 프로그램이다. 커리어 위크는 2023년 2025-07-03 09:01:58
-
현대차그룹, 제2회 '아이케어 업' 행사 개최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30일~7월 2일까지 2박 3일간 경기도 양평에 있는 블룸비스타 호텔앤컨퍼런스에서 전국 아동보호전문기관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아이케어 업(i-CARE UP)' 행사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로 2회째를 맞은 '아이케어 업' 행사는 학대 피해아동과 학대 행위자를 대면하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종사자들의 업무 스트레스 해소와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행사에서 전국에 있는 72개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과 치료사를 초청해 2박 3일 2025-07-03 09:01:41
-
SK매직, 동반성장위원회·협력 중소기업과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 체결 SK매직이 지난 2일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에 위치한 SK매직 화성캠퍼스에서 동반성장위원회 및 협력 중소기업과 함께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대·중소기업 간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자율적인 상생협력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식에는 곽재욱 동반성장위원회 운영처장, 권정열 SK매직 생산·개발본부장, 정호채 휴먼필텍 대표, 강석현 매직칼라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협력기업과의 상생 방안과 실질적 2025-07-03 08:58:36
-
삼성전자서비스, '서비스 품질 평가' 1위 연속 수상 삼성전자서비스가 대외 기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서 가전제품, 휴대전화, 컴퓨터 부문 1위를 연이어 수상하며 '서비스도 역시 삼성'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26일 산업정책연구원이 발표한 '2025 국가서비스대상(NSA)'에서 가전제품 AS 부문 1위에 선정됐다. 가전제품의 상태를 미리 확인해 주는 사전점검, 체계적인 사후관리, 고객 맞춤형 케어 3단계 차별화 서비스가 가전제품 AS 부문 1위라는 의미 있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 2025-07-03 08:52:33
-
롯데면세점 직원들, 의식 잃은 中고객 심폐소생술로 구해 롯데면세점 임직원들이 의식을 잃고 쓰러진 고객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해 소중한 생명을 구했다. 3일 롯데면세점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롯데면세점 제주점을 방문한 중국인 고객이 주차장에서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현장에 있던 김동진 제주점 사원은 기도 확보를 위해 말린 혀를 당겼고, 김정우 대리는 심폐소생술을 시행했다. 신속한 조치로 고객은 맥박과 호흡을 되찾았고 제주 인근 병원으로 이송된 뒤 본국으로 돌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5월에는 윤남호 제주공항 2025-07-03 08:47:56
-
OECD 회원국 10곳 중 9곳은 하반기 경제 '부정적' 올 하반기 글로벌 경영환경을 긍정적으로 전망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비율이 10%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회원국 다수를 주요 교역·투자 대상국으로 둔 한국 경제계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3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OECD 경제산업자문위원회(Business at OECD, 이하 BIAC)가 회원국 경제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경제정책 조사(2025 Economic Policy Survey)'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BIAC에는 한경협을 포함해 OECD 회원국 45개국 경제단체가 참 2025-07-03 07:39:31
-
조주완호(號) LG전자, R&D 인력·비용 급증… 로봇·AI 기반 신사업 육성 박차 조주완호(號) LG전자가 연구개발(R&D) 역량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며 인공지능(AI)·로봇 등 미래 신사업 중심 포트폴리오 구축에 고삐를 당기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의 지난해 R&D 관련 정규직 수는 전년 대비 5.7% 증가한 2만1648명으로 집계됐다. 조주완 대표 취임 전인 2021년(1만9765명)과 비교하면 9.5%(1883명) 늘어난 규모다. 전체 정규직 중 R&D 관련 직원 비중도 27.2%에서 29.4%로 확대됐다. R&D 투입 비용은 2021년 3조6044억원에서 지난해 4조7632억원으로 32.1% 급증했다 2025-07-03 05:00:00
-
中 전기차 호황에 미소··· 삼성전기, IT 제치고 전장 사업 새 성장축 중국 전기차 업체가 경기불황 속 가성비 전략으로 몸집을 키우면서 전장 사업에 집중하는 삼성전기에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시장에선 IT에 집중됐던 매출이 조만간 전장을 중심으로 확대될 것이란 예측이다. 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산 전기 승용차 신규 등록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6.5% 증가했다. 특히 눈에 띄는 성적을 낸 브랜드는 중국 업체 BYD다. BYD는 지난 4~5월 1056대의 차량을 판매하며 테슬라, BMW에 이어 수입 전기차 판매 순위 3위에 단숨에 올랐다. 이 외에 2025-07-02 19:00:00
-
[석유화학 구조조정] 줄줄이 신용등급 하락...생존 위한 매각 릴레이 국내 석유화학 업체들이 실적 악화 속 신용등급 하락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가뜩이나 부족한 유동성이 추가로 경색될 위기다. 스페셜티(고부가제품)와 이차전지 소재 등으로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이지만 자금 여력이 충분치 않다. 해외 법인과 비주력 사업 매각으로 활로를 찾는 사례도 속출하는 중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LG화학과 롯데케미칼, 한화토탈에너지스, SK지오센트릭 등 주요 석화 기업 신용등급이 지난달 일제히 하락했다. 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3대 2025-07-02 18:34:17
-
[석유화학 구조조정] 업계 "규제 허들 없애고 특별법 제정해야"...日 사례 벤치마크 제시 2일 아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석유화학 업체들은 구조적 불황을 극복하고 업계 공멸을 막기 위한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2023년 기준 국내 석화 산업은 전체 생산량 중 내수 대비 수출 비중이 2배가량 많다. 다만 중국·중동발 공급 과잉으로 업계 수익성 지표인 PE(폴리에틸렌) 스프레드는 2022년 이후 t당 160~180달러에 머무르고 있다. PE 스프레드가 t당 250달러 이하로 떨어지면 손해를 보는 구조다. 산업용 전기료가 2021년 kWh(킬로와트시)당 106원에서 2024년 183원으로 4년 새 7 2025-07-02 18:33:23
-
[석유화학 구조조정] "석화 호황 더는 안 온다"...정부 주도 통폐합 요구 봇물 구조적 불황에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한계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지만 정부 주도의 산업 통폐합 정책은 수년째 답보 상태다.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조속한 지원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회미래산업포럼과 국회미래연구원은 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 재편'을 주제로 제1회 국회산업포럼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비관적인 전망이 쏟아졌다. 국내 석화 산업은 중국·중동발 공급과잉으로 2022년 이후 불황(다운턴)에 빠졌고 앞으로도 호황(업턴)은 오지 않 2025-07-02 18:30:00
-
GMO 현재와 미래 조망…식품산업협회, 국제학술대회 세션 개최 한국식품산업협회는 2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년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정기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이날 정기총회에서 김용노 서울대 교수에게 '제6회 한국식품산업협회 학술상'을 시상하고 상패와 상금을 전달했다. 김 교수는 기능성 식품소재와 전달 시스템을 개발해 식품산업 과학화·첨단화에 이바지한 공을 인정받았다. 이어 협회는 '유전자변형 생물체(GMO)의 현재와 미래: 기술·인식·산업의 과제'를 주제로 국제학술대 2025-07-02 18:20:46
-
하림 "익산 하림치킨로드 방문객 7만7777명 돌파" 하림은 전북 익산에 있는 '하림치킨로드(Harim Chicken Road·HCR) 투어' 누적 방문객이 지난달 셋째 주에 7만7777명을 돌파했다고 2일 밝혔다. HCR 투어는 하림의 식품 철학과 생산 과정 등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2019년 말 익산 스마트팩토리 완공과 함께 시범 운영에 들어갔고, 2022년부터 본격 시행했다. 하림 생산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산업관광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으며 방문객 수도 매년 크게 늘고 있다. 2022년 8062명 수준이던 방문객은 2023년 1만8203명, 2024년 3만366명으 2025-07-02 18:07:29
-
날개 꺾인 K-뷰티…수출 2개월 연속 감소 K-뷰티 수출 날개가 다시 한번 꺾였다. 지난달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이 전달보다 증가한 것과 달리 화장품은 2개월 연속 감소했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 '6월 수출입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5대 유망 소비재 중 화장품 수출액은 9억4900만 달러로 전달보다 0.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월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다. K-뷰티는 '가성비'(가격 대비 높은 성능)를 앞세우며 전 세계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지난해엔 수출액 사상 첫 100억 달러 돌파라는 대기록도 세웠다. 2012년 10억 2025-07-02 18:00:00
-
불스원 '2025 코리아 카케어 페스티벌' 참가 성료 자동차용품 전문기업 불스원은 지난달 28일부터 이틀 동안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코리아 카케어 페스티벌'에 성공적으로 참가했다고 2일 밝혔다. '코리아 카케어 페스티벌'은 차량 관리 전문 박람회 중 하나로, 디테일링 제품 전시는 물론 차량관리에 대한 정보 교류와 문화를 공유하는 축제로 자리잡고 있다. 불스원은 프리미엄 디테일링 브랜드 '루나틱폴리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왁스 코팅제와 가죽 시트관리를 위한 레더 케어 제품을 직접 시연해 볼 수 있는 체험존을 운영 2025-07-02 17:5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