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는 정부가 25일 발표한 생활필수품 52개 품목과 관련 "국제 원자재 시세를 제품가격에 반영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사실상 가격통제"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밀가루 등 식품원료 제조업체들은 "정부가 시장에 대해 직접적인 가격규제는 하지 않겠다고 하지만 특정 품목의 가격 동향을 관리한다는 방침 자체가 간접적인 가격인상 억제책이나 마찬가지라는 게 업계의 공통된 입장"이라고 전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일단은 정부 방침에 따라 최대한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내부적으로 흡수하겠지만 밀이나 옥수수 등 국제 원자재 시세를 제품가격에 반영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어서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은 작년 말부터 올 2월까지 제품가격을 올린 라면과 스낵, 제과업체들도 마찬가지다.
게다가 원자재 값 상승세가 언제 꺾일지 모르는 상태에서 정부가 집중관리하게 될 경우 가격인상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 라면 제조업체 관계자는 "정부의 방침이 사실상 가격 통제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사실"이라며 "당장은 자체적인 원가절감 노력으로 인상요인을 흡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정부의 이같은 방침이 장기적으로 이어지면 중량을 줄이는 등 편법을 동원하는 사례가 생기거나 품질이 떨어지게 될 수도 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경영기반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업계는 축산농가 지원책 등 더욱 근본적인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정부에 주문했다.
한 유업체 관계자는 "우유 등 유제품 가격이 오르는 것은 사료값 폭등 등에 따른 축산농가의 부담을 해소해 주려는 측면이 있는데 정부가 일방적으로 가격 동향을 주시하고 나서는 것은 이런 구조적인 문제를 간과한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농가에 대한 지원을 통해 도산을 막는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종명 기자 skc113@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