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기업대출 동반 급증…돈가뭄 우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8-05-05 11:0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주택대출 1년5개월來 최고치 주가 반등, 머니무브 재연될 수도

올 들어 은행권의 기업대출이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의 증가폭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시중은행을 곤혹스럽게 했던 돈가뭄 현상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5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우리 신한 하나은행 등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현재 153조9056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7865억원 급증했다.

지난 2006년 11월 3조6732억원의 증가폭을 기록한 후 1년5개월 만에 최대치다. 지난 3월 증가폭은 7303억원에 불과했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9812억원으로 가장 많이 늘었고 우리은행(3591억원)과 하나은행(2683억원)도 증가폭을 늘렸다.

은행권 전체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6월 이후 11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게 됐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서울 강북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전국 집값이 0.9% 상승하는데 그친 반면 강북지역은 3배 가까운 2.4% 증가했다.

은행권 중소기업대출 잔액도 계속 확대되고 있다. 4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중기대출 잔액은 192조5227억원으로 전월 대비 3조6200억원 증가했다.

시중은행들이 대출 확대에 열을 올리면서 지난해와 같은 자금난에 시달릴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은행들이 예대마진(대출금리와 예금금리 격차로 인한 이자수익)의 유혹을 떨치지 못하면서 대출을 늘리고 있지만 최근 증시가 조정 국면에서 벗어나면서 머니무브(증시로의 자금 이탈) 현상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월말 평균 종합주가지수는 지난 3월 1703.99에서 4월 1825.47로 100포인트 이상 올라 활력을 되찾고 있다.

머니무브 현상이 현실화 할 경우 은행들은 대출 재원 마련을 위해 양도성예금증서(CD)와 은행채 발행을 늘릴 수 밖에 없다.

이럴 경우 은행권의 유동성 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펀딩갭(원화대출금에서 원화예금을 뺀 금액) 확대를 초래할 수 있다.

또 CD금리에 연동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르게 돼 서민들의 이자 부담도 커지게 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지난해 글로벌 신용경색 위기로 은행들이 CD 및 은행채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며 "올 들어서도 신용경색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 만큼 과도한 대출 확대를 자제하고 위험 관리에 신경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