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운송거부로 일부 공사 차질이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 건설노조까지 파업에 가세할 경우 공사 지연에 따른 피해 확산이 불가피한 때문이다.
특히 이번에 파업에 동참하는 덤프차량, 레미콘, 굴삭기, 불도저, 펌프카 등은 건설공정에 쓰이는 핵심 차량과 기계들이어서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전국의 공사 현장이 '올스톱'되는 초유의 사태가 예상돼 각 현장에는 위기감마저 감돌고 있다.
건설업계는 이번 파업의 피해를 최소하기 위해 휴일에도 비상근무를 하며 자재 입고량을 늘리고 대체공정을 준비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뾰족한 해결책을 찾지 못해 애태우고 있다.
S건설의 경우 서울 길음뉴타운, 미아뉴타운 등 기초.골조 공사가 진행중인 초기의 아파트 공사가 중단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레미콘 차량은 비조합원이 많고, 대부분 레미콘 생산업체가 유류대를 현물(경유)로 지급하고 있어 운송거부율이 낮다 해도 덤프트럭이 들어오지 않으면 모래, 자갈 등 골재반입이 중단돼 공사가 힘들어진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전국에 등록된 덤프차량 5만대 가운데 실질 운행 차량은 절반인 2만5000대이며 이 가운데 1만5천대가 건설노조에 가입돼 있다.
회사 관계자는 "기초나 골조공사 현장은 레미콘 타설이 불가능해지면 다른 대체공정으로 전환하기도 어렵다"며 "특히 화물연대 운송거부로 철근 반입도 중단된 상태여서 사실상 일손을 놓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D건설이 시공중인 은평뉴타운 3지구와 또다른 D사가 공사하는 경기도 오산시의 아파트 현장도 철근과 레미콘으로 기본 뼈대를 만드는 골조공사가 진행중이어서 타워크레인이나 레미콘 운행이 차질을 빚을 경우 공사 중단이 불가피하다.
마감공사가 진행중인 아파트 현장들도 12~13일부터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차량과 화물차 등이 들어 오지 않아 바닥 미장, 마감 공사가 중단되는 등 공사차질이 지속되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현장의 경우 3~4일간 공사가 중단되면 열흘, 열흘이 중단되면 한달간 공기가 지연된다고 봐야 한다"며 "계약공기를 못맞추면 입주 지체보상금을 물어줘야 하는데 이 피해는 누가 감당해야 하느냐"고 불만을 표시했다.
이번 파업은 특히 도로 공사나 토지조성공사 현장 등 덤프차량 수요가 많은 토목현장에 큰 타격을 줄 전망이다.
D건설이 새만금 간척지에서 진행하고 있는 매립공사의 경우 덤프트럭이 들어오지 않으면 매립에 필요한 모래와 자갈 반입이 불가능해 공사 자체가 완전히 중단된다.
H건설은 성남-장호원 도로 건설공사 현장의 터널 구조를 만드는 라이닝(lining) 타설이 힘들 경우 철근 조립 등의 공정을 대신할 계획이지만 파업이 길어지면 이 또한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업계는 가뜩이나 미분양, 철근 등 원자재값 인상으로 어려운 환경속에서 각계의 파업으로 인해 시장 침체의 골이 깊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연된 공기를 맞추기 위해 무리하게 공사를 하면 부실시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파업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정부, 업계 모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