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주요 MDI 생산 기업 옌타이완화(煙臺萬華) PU주식회사, 상하이롄헝(聯恒) 이소시아네이트유한회사, BAYER(상하이) PU유한회사의 MDI 생산 능력이 지난해 기준 62만t에 달하며 중국 시장 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 세 기업은 새로운 확장 공정에 박차를 가하며 시장점유율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MDI는 폴리우레탄의 핵심원료로 최근 첨단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기술, 자금 집약형 산업인 MDI는 진입 기준이 높아 짧은 시간 안에 새로운 경쟁사가 형성되기 어렵지만 고부가가치 산업이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많은 기업이 MDI 분야에 진출하고 있거나 진출할 계획이어서 세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던 구도에 새로운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
◆ 막대한 시장수요
최근 몇 년간 중국의 PU(폴리우레탄)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MDI 수요 또한 빠르게 증가했다. 2001년부터 MDI 수요량이 연평균 22%씩 증가해 2007년에 78만t에 달했다. 수입량도 2001년의 18만9000t에서 2007년 45만8000t으로 증대됐다. 한 전문가는 2010년 중국의 MDI 수요가 120만t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 |
||
BASF, HUNTSMAN, 상하이화이가오차오 석유화학 등이 공동 설립한 상하이 롄헝(联恒) 이소시아네이트 유한 공사 |
PU 발포 플라스틱 부분에서 MDI를 원료로 제조한 PU 보온 단열재는 비교할 수 없는 우위를 갖추고 있다. PU 경질 발포체는 기존의 냉장고 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외벽, 내벽, 열 파이프, 유전 수송관 등 보온 시장에서도 수요량이 막대하다. 자동차 시트용 PU 발포체에서도 MDI는 TDI를 일부 대체하고 있다.
특히 건축물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 유럽, 미국의 건물 중 75%가 PU 보온 단열재를 사용한 데 반해 중국은 2005년 400억㎡ 이상의 건물 중 95% 이상이 에너지 고소모 건물이며 단위 면적당 에너지 소모량은 선진국의 2~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건설부는 ‘11.5’ 계획에서 “중국 전역의 각종 신축 건물은 에너지를 50% 절감하고 주요 도시는 에너지 절감률을 65%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규정했다. 2006년 7월 1일부터 베이징, 톈진(天津), 다롄(大連), 선전(深圳) 등지에서는 이미 에너지 절감 PU 단열소재의 의무적 사용을 규정하기 시작했다. 향후 몇 년 동안 중합 MDI는 해당 분야에서 연평균 18~20%씩 증가할 전망이다.
PU탄성체 분야에서 MDI는 군수품 등 첨단기술 및 야금, 석유, 자동차, 선광(選鑛), 수리(水利), 방직, 인쇄, 의료, 스포츠, 양식가공,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현재 탄성체 응용 분야에서는 TDI를 대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몇 년간 PU 탄성체의 MDI 수요량은 계속해서 연평균 30%씩 증가할 것이다.
PU 합성소재 분야에서 중국은 이미 세계적인 가구, 가전, 신발 등 제품의 생산 중심으로 부상했다. 수출지향형 산업인 PU 합성피혁, 신발창 원료, 도료, 접착제/밀봉제는 일부 요인(수출환급세, 위엔화 평가절상 등)의 영향으로 소비 증가율이 다소 둔화되었지만 MDI 수요는 계속해서 연평균 10%의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 3대 기업 생산시설 확장 경쟁
2008년 6월 옌타이완화, 상하이롄헝, BAYER상하이 등 세 기업의 총 생산능력은 100만t에 달했으며 2010년에는 150만t 이상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옌타이완화는 산둥(山東)성 옌타이와 닝보(寧波) 다셰(大榭) 두 지역에 MDI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2007년 옌타이공장의 생산 능력은 14만t, 실제 생산량은 15만~16만t이었으며 2008년에 생산 능력을 20만t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닝보 다셰공장은 2007년 11월에 연산 16만t 플랜트를 24만t으로 확대했으며 2008년에는 30만t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밖에 HDI, HMDI를 포함한 신제품의 생산도 계획 중이며 3년 안에 아태지역에서 최대 생산량, 가장 완비된 산업사슬, 최고 저렴한 원가,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의 MDI 공급 업체로 부상하는 목표를 세웠다.
![]() |
||
2008년 생산 능력 20만톤을 목표로 하고 있는 옌타이완화(烟台万华) PU 주식회사 |
상하이롄헝은 BASF, HUNTSMAN, 상하이화이(華誼), 가오차오(高橋)석유화학 등 기업이 공동 설립한 업체로 PU 수직계열화 프로젝트의 일부분이다. 연산 24만t의 MDI 플랜트는 2007년 8월에 조업을 가동했으며 실제 연간 생산량은 28만~29만t에 달한다. BASF는 총 300억 위엔을 투자해 충칭(重慶)화학단지에 연산 40만t의 2호 MDI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며 2008년 7월에 착공했고 2010년에 조업을 가동할 예정이다.
BAYER상하이는 31억 달러를 투자해 건설한 상하이 수직계열화 화학 프로젝트 중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류 제품 프로젝트에 연산 35만t MDI 플랜트가 포함되며 조업 가동시기는 원래 계획했던 2009년에서 2008년 4월로 앞당겨졌다.
◆ 신규 기업 진출 쇄도
공급은 부족하고 이윤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MDI 산업에 포스겐(phosgene)의 대규모 사용, 체계적인 공정 프로세스, 설비의 내부식성, 정밀한 반응조건 등 기술 장벽과 거액을 투자해야 하는 자금장벽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신규 기업들이 해당 산업에 진출하고 있으며 기존의 중국 TDI기업들은 모두 MDI산업 진출 계획을 갖고 있다.
31억 달러를 투자해 건설한 BAYER 상하이 PU 유한회사 |
란싱(藍星)그룹의 톈진화학신소재기지는 연산 20만t의 MDI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며 그 중에서 1기 공사로 연산 10만t의 플랜트가 현재 건설되고 있다. 간쑤인광(甘肅銀光)화공그룹은 연산 16만t의 MDI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고 르방(日邦)PU(루이안[瑞安])회사의 연산 8만t MDI 정밀 가공 프로젝트는 2006년 7월에 착공, 현재 거의 완공되었다. 원료는 주로 일본PU주식회사가 난양(南陽)공장에 새로 증설한 연산 20만t MDI 플랜트에서 공급한다.
만약 3대 MDI 기업이 대규모로 생산 능력을 확대한다면 시장 공급이 포화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신규 기업들이 진출하면서 MDI 생산 능력은 더욱 과잉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산업 경쟁 구도에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상하이=마창락 통신원
아주경제연구소 aj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