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국회의장은 4일 "국회의장으로서 직권상정을 최대한 자제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그러나 지금과 같은 국회 장기파행이 계속된다면 역사 앞에서 외로운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이날 `국회 정상화를 위한 국회의장 성명'을 통해 이 같이 말한 뒤 "여야는 더 이상 국민을 실망시켜서는 안된다"면서 조건없는 대화에 나설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의장은 `직권상정 최대한 자제' 발언에 대해 "1월8일 임시국회까지는 직권상정이 없다고 해석해도 좋다"고 말했다고 한 측근이 전했다.
김 의장의 입장은 `직권상정 철회'를 전제로 한 민주당 정세균 대표의 조건부 대화 제안에 대해 이번 임시국회 회기내에는 직권상정을 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달아 회기시한까지 여야 협상 타결을 거듭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성명에서 "며칠 전 여야 협상대표가 `가(假) 합의안'을 마련한 적이 있다"면서 "조금만 더 노력한다면 여야가 합의를 못할 이유가 전혀 없다. 조속히 협상을 마무리하고 최종 결론을 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각 당 의원들은 협상 대표들에게 전권을 부여, 협상이 책임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해줄 것을 당부한다"면서 여야 내부 강경파들의 자제와 협상 승복을 주문했다.
김 의장은 "국회의장은 여야간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복원하는 것과 더불어 국회 내의 어떠한 불법과 폭력에 대해서도 단호하게 대처하고 법 질서가 회복되도록 하는 책임이 있다"면서 "책임을 끝까지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성명문 낭독후 "임시국회가 종료되는 1월8일까지 지켜보겠다. 협상이 잘된다면 제가 할 일은 없을 것이지만, 국회 장기파행이 거듭되고 협상이 안되면 그때는 국민의 명령을 따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1월8일까지 합의가 안되면 임시국회를 새로 열 계획이냐'는 질문에 대해 "아무 합의도 없이 임기국회를 또 열면 무엇하느냐"며 이번 임시국회 회기내 협상 타결을 거듭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