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지난해 미국의 실업 사태가 2차 대전 이후 최악을 기록, 심각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다시 키운 영향으로 하락했다.
이날 잠정집계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43.28포인트(1.64%) 떨어진 8,599.18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종합지수는 45.42포인트(2.81%) 하락한 1,571.59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9.38포인트(2.13%) 내린 890.35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이번 주에 다우지수는 4.8%, 나스닥은 3.7%, S&P 500은 4.5%씩 하락했다.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해 고용지표에서 확인된 암울한 경제 상황은 증시를 억눌렀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258만9천개의 일자리가 없어져 63년만에 최대를 기록하고 실업률은 2007년의 4.6%보다 1.2%포인트 상승한 5.8%로 200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또 작년 12월 한달 동안에는 52만4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실업률이 7.2%에 달했다. 이는 11월의 6.8%에 비해서는 0.4%포인트가 뛴 것으로, 1993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실업 사태는 가계의 소비지출이 줄이고 기업의 실적 악화를 불러와 다시 고용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 경기침체의 골을 깊게 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마크로리스크 어드바이저스의 딘 커너트 회장은 마켓워치에 이번 고용지표는 밝은 곳이 거의 없다는 부정적인 전망을 불러오기에 충분하다며 경제상황이 악화되는 속도가 우려를 고조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메모리칩 개발업체인 램버스는 마이크론을 상대로 한 12건의 특허와 관련한 소송에서 델라웨어 연방법원이 패소 판결을 내린 영향으로 39%나 폭락했다.
모바일기기 제조업체 팜(palm)은 터치 스크린 스마트폰 'Pre'에 대한 호평으로 34% 급등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