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낙동강 다이옥산 오염농도를 희석시키기 위해 전문처리업체에 위탁처리하고 안동댐 등의 방류량을 늘린다.
정부는 23일 권태신 국무총리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낙동강 다이옥산 오염대책을 마련했다.
오염대책은 △다이옥산이 함유된 고농도 폐수를 전문처리 업체에 위탁처리 △안동댐 등 방류량을 22일부터 1주일간 총 1100만톤 추가 방류 △중장기 대책으로 ‘4대강 살리기 사업’과 연계 추진 등이다.
단기대책으로는 낙동강 유량이 평수기로 회복될 때까지 다이옥산이 함유된 고농도 폐수를 전문처리 업체에 위탁해 처리키로 하고, 약 27억 원 정도 소요될 비용 일부를 국고에서 지원키로 했다.
또 안동댐 등의 방류량을 22일부터 1주일간 매일 162만톤씩 총 1100만톤을 추가 방류한다.
중장기 대책으로 업체의 저감시설 개선 및 다이옥산 처리기술 개발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기존 정수장의 노후 시설을 보강할 예정이다.
낙동강 수질악화 문제가 일회성이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라 재발할 가능성이 있어 4대강 살리기 사업과 연계해 △낙동강 구간 취수가능지역 조사사업 추진 △하천저류능력 증대 △남강댐 재개발, 송리원댐 건설로 낙동강 물확보 능력 확충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권 실장은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국민들이 먹는 물은 안전해야 한다”며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상수원 오염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임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는 환경부 차관, 국토해양부 제1차관,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실장이 참석했다.
이보람 기자 boram@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