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IMF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기존 전망치보다 대폭 하향 조정한 0.5%로 예상했다. |
글로벌 신용 경색의 여파로 세계가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전망했던 2.2%에서 0.5%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IMF는 28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전망보고서(WEO)를 통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작년 11월 제시했던 2.2%에서 0.5%로 대폭 낮췄다. 이같은 성장률은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IMF는 보고서에서 "각국 정부가 강도 높은 정책 수단을 동원하고 있지만 금융 경색이 여전히 남아 있고 실물경제도 나빠지고 있다"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경제가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올해 미국이 -1.6%, 유럽은 -2%로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과 독일도 올해 경제성장률이 각각 -2.6%, -2.5%로 마이너스 성장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해 선진국은 전체적으로 -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반면 신흥시장국가들은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기록해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을 3.3%, 5%로 각각 예상했다.
하지만 신흥시장국가들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작년 11월에 나온 것보다 1.8%포인트와 1.2%포인트나 각각 하향 조정된 수치다.
세계의 성장엔진으로 불리는 중국과 인도도 세계 경제성장률 둔화 흐름에서 예외가 아니다.
IMF는 중국과 인도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작년 11월 제시했던 기존 전망치보다 1.8%포인트와 1.2%포인트 하향 조정한 6.7%와 5.1%로 각각 수정해 발표했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가 2010년부터 완만한 회복세를 탈 것으로 보고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로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IMF는 이날 별도로 내놓은 국제금융안정보고서(GFSR)에서 세계적으로 금융권의 부실자산 규모가 2조2000억 달러(약 303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지난해 10월에 발표한 1조4000억 달러보다 8000억 달러가 더 늘어난 수치다.
IMF는 "다양한 정책적 조치에도 불구하고 신용 경색이 여전히 심각하다"며 "지속가능한 경제회복은 금융시장이 정상화되고 신용경색이 해소되기 전까지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