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물가를 4분기 이후 경기하강 요인 등이 물가 상승압력을 둔화시켜 올해 물가는 2% 후반대로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3일 소비자 물가 동향과 관련해 “올해 소비자 물가는 1분기 중에 비교적 높은 물가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2분기 이후 본격적으로 안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재정부는 1분기에는 국제 석유제품 가격 반등, 유류세·할당관세 환원, 연초 가격 조정, 환율 요인 등이 작용해 물가 상승세가 불가피하지만, 2분기 이후에는 경기하강이 본격화되면서 연간 기준으로 2% 후반대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2월 소비자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4.1% 상승한 것과 관련, “국제 석유 제품과 금 가격 상승 등 일시적인 요인이 많이 작용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3월의 전년동월대비 물가 상승률은 주요 대학들의 등록금 동결 및 경기 하강 효과 등으로 2월보다 낮아질 요인이 있다”며 “환율 요인이 석유류 가격 등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3월 소비자 물가 수준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주요 대학 등록금은 지난달 28일 기준으로 4년제 중 75%, 전문대 중 86%가 동결해 3월 소비자 물가를 덜 오르게 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가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석유 제품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소비자 물가의 지나친 상승을 억제할 방침이다.
우선 ‘가격 모니터링 태스크포스(TF)’와 소비자단체협의회 원가분석팀을 지속 가동하고 이달 중으로 주유소 종합정보시스템 가격정보를 휴대전화와 내비게이션에도 제공하기로 했다.
또 5월까지는 주유소에서 주유소로 동종의 석유판매업간 수평 거래를 허용하고, 정유사 평균 가격 공개 방식을 정유사별 공개방식으로 상반기까지 전환하기로 했다. 대형 할인점 부설 주유소도 올해 20개로 확대된다.
김한나 기자 hanna@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