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침체로 글로벌 수요가 줄어들면서 수출도 감소할 것이라는 일반의 예상과는 다른 것이어서 고무된 표정이다.
2일 석유공사의 자료를 보면, 올해 1월과 2월 정유사들의 석유제품 수출량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7% 증가했다.
작년 1월과 2월 국내 정유 4사의 수출량은 4천411만 배럴이었다. 올해 1월과 2월 수출량은 이보다 약 746만 배럴 증가한 5천157만 배럴을 기록했다.
이런 석유제품 수출 증가 폭을 단순 환산하면 약 2천 만대의 중형승용차(60L 기준)에 기름을 가득 채울 수 있는 양이다.
사별로 살펴보면 SK에너지가 올해 1∼2월 2천29만 배럴을 수출했다. 작년(1천398만 배럴)에 견줘 45% 증가한 것이다.
정유 4사 중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GS칼텍스의 수출량도 작년 1∼2월 898만 배럴에서 올해 1∼2월 1천18만 배럴로 13%가량 증가했다.
수출량 증가는 정유사들의 수익성 개선에도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1월과 2월 정제마진이 배럴당 0.58달러, -0.75달러로 작년 전체 평균 정제마진인 -2.55달러보다 높았던 덕분이다.
정제마진이 높으면 원유를 정제해서 석유제품을 만들어 파는 정유사는 그만큼 많은 이익을 얻는다.
또한, 작년에 휘발유와 원유가격이 뒤집히는 역전현상도 올해 들어 휘발유가 10달러 이상 원유가격을 꾸준히 앞지르는 등 작년과 비교해 정제마진을 일정 정도 회복한 점도 정유업계 수출의 질을 높이는데 한몫했다.
특히 단가가 낮은 벙커 C의 수출량은 40% 가까이 낮아진 데 비해, 휘발유 33.9%, 경유 36.7% 등 단가가 높은 경질유의 수출량이 많이 늘어난 대목도 정유업계의 얼굴을 밝게 하는 요인이다.
반면, 내수 판매량은 작년보다 3%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2월 정유 4사의 내수 판매량은 1억460만 배럴이었다. 그러나 올해 같은 기간 내수 판매량은 1억115만 배럴로 소폭 줄었다. SK에너지가 4%, GS칼텍스가 3%, 에쓰오일이 1%, 현대오일뱅크가 6%가량 감소하는 등 내수 판매는 작년과 비교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