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마 미국과 유럽연합(EU)으로부터의 투자가 급격히 줄어든 가운데 일본으로부터의 투자가 크게 늘면서 훨씬 더 크게 나타났을 감소폭을 상당부분 상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일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1분기 외국인 직접투자 동향'에 따르면 올해 1∼3월 FDI 신고액 규모는 16억7천7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38.2%나 감소했다.
FDI의 급감은 서비스업과 기업 인수.합병(M&A)형식 투자가 크게 위축됐기 때문이었다.
1분기 서비스업 FDI 신고액은 금융.보험분야의 투자가 크게 위축된 탓에 7억5천700만 달러로, 작년 1분기(19억3천300만 달러)에 비해 61.1% 감소했다.
이에 비해 제조업 FDI는 9억1천300만 달러로, 전 세계적인 FDI의 위축속에서도 전기.전자.화학 분야의 투자가 증가세를 보이면서 오히려 26.0%나 늘어났다.
투자형식별로는 법인이나 공장을 세우는 '그린필드(Greenfield)형' 투자는 14억9천만 달러로 1년 전과 비교한 감소폭이 14.3%에 그쳤지만 M&A형 투자는 무려 80.8%나 급감하며 1억8천800만 달러에 그쳤다.
이런 현상은 세계 경기의 동반위축과 어려워진 자금사정으로 외국 기업,투자자들이 경기에 더 민감한 서비스 분야의 투자나 공격적인 M&A에 나서는 것을 주저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FDI의 나라(지역)별 '판세'도 크게 달라졌다. EU와 미국에 이어 세 번째 투자국이었던 일본의 기업들은 올해 1분기에는 작년 1분기보다 162.8%나 급증한 6억6천100만 달러의 가장 많은 투자를 신고했다.
이에 따라 전체 FDI에서 일본의 비중도 지난해 1분기 9.3%에서 올해 1분기에는 39.4%로 수직 상승했다. 일본 기업들의 투자액 대부분인 6억2천500만 달러가 부품.소재 등 제조업이라는 점도 특이점이었다.
이에 비해 그간 국내에 가장 많은 FDI를 해왔던 유럽연합(EU) 지역 기업들의 올해 1분기 국내 투자신고액은 5억3천500만 달러(비중 31.9%)로 65.2% 급감하며 2위로 밀려났고 미국 기업들의 투자액은 3억5천800만 달러로 21%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정부는 올해에 지난해보다도 늘어난 125억 달러의 FDI 유치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세계적 경기침체로 인해 유엔 무역개발회의(UNCTAD)가 올해 전 세계 FDI가 21%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 등 목표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경부는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세계적 FDI 위축에도 국내 실적은 비교적 양호하다"며 "투자금액은 줄었으나 제조업 투자가 늘고 그린필드형 투자의 비중이 높아지는 등 질적인 측면에서는 향상이 있었다"고 자평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