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최근 실시한 휴대전화 통화 품질 테스트 결과 휴대전화에 금속 물질로 도금 처리된 케이스를 씌웠을 경우 착발신이 되지 않거나 음질 불량이 발생하는 등 통화 품질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테스트는 투명 플라스틱 케이스와 도색 플라스틱 케이스, 도금 처리 플라스틱 케이스 등 3종에 대해 실시됐으며, 3종의 케이스 중 도금된 케이스를 부착했을 경우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전파 수신 세기가 10~18㏈ 감쇄됐다.
10~18㏈의 감쇄는 통화 시 착발신이 안 되거나 음질 불량의 가능성이 높으며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때 접속 실패 및 지연 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수준이며, 특히 아파트나 상가 등 건물에서는 통화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투명 또는 도색 케이스는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해 통화 품질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인 3㏈ 상당이 감쇄됐다.
실제로 최근 2개월간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고객으로부터 SK텔레콤 고객센터에 접수된 통화 품질 관련 고객 상담 중 41건이 휴대전화 보호 케이스가 유발한 불량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불량은 대부분 건물 내 통화 시 증상이 나타났다.
SK텔레콤은 전국 고객센터에 이번 조사 결과를 알려 고객 상담 시 안내하도록 하는 한편 이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검토 중이다.
방송통신위원회 전파연구소 관계자는 "일반 플라스틱 보호 케이스는 통화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나 도금 처리된 케이스는 통화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일반 야외 환경에 비해 건물 내에서 불편을 야기할 수 있어 보호 케이스를 분리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